유상임 장관, 美 FCC·엔비디아와 연쇄 면담⋯AI·과학기술 협력 강화

입력 2025-05-18 09: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4일(현지시간) 브랜던 카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위원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과기정통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4일(현지시간) 브랜던 카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위원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과기정통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4일부터 17일까지 미국 워싱턴 D.C.와 샌프란시스코를 방문해 미 연방통신위원회(FCC),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 국립과학재단(NSF), 엔비디아 등과 연쇄 면담을 진행했다. 이번 방미는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2026년 연구개발(R&D) 효율화 예산안 발표, 에너지부 민감국가 리스트에 한국 포함 및 한국의 인공지능(AI) 분야 추경 예산안 통과 등에 대한 대응으로 한미 과학기술 공동연구 및 AI 인프라 확대 등을 조속히 추진하기 위한 행보이다.

유 장관은 14일 브랜던 카 FCC 위원과 만나 통신 인프라 보안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SK텔레콤 사이버 침해사고, 미국의 대규모 해킹 사건인 ‘Salt Typhoon’ 사례를 공유하며, 국제적 공동 대응 체계 필요성에 공감했다. 한국의 IoT 보안인증제도와 미국의 사이버 트러스트 마크 제도 간 상호 기준 공유를 통해 중복 인증 부담 해소 및 시장 신뢰 제고 방안도 모색했다.

6G 개발 및 해저 통신케이블 보안 강화에 대한 협력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한국 통신사들이 참여한 해저 케이블 컨소시엄을 중심으로 향후 보안 협력 확대에 뜻을 모았다.

15일에는 린 파커 백악관 OSTP 부실장을 만나 한미 과학기술 공동연구의 연속성 확보와 연구보안 정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미국 측은 AI·양자·바이오·원자력 등 트럼프 2기 행정부의 R&D 우선 투자분야를 공유하며, 기술별 협력 심화 및 연구보안 강화 필요성에 공감을 표했다.

유 장관은 민감국가 지정 등의 상황으로 연구보안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을 설명했고 양측은 현재 연구보안 정책을 공유하고, 상호 긴밀히 협력해나가기로 하였다. 미측은 특히, 트럼프 행정부 1기 때 발표된 연구보안 관련 대통령 각서를 기반으로 이행을 강화해나갈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양측은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기술 분야별로 심도 있는 협력을 추진해나가고, 제12차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 개최를 위한 논의를 진행해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 두번째)이 미국 엔비디아 본사를 방문해  제이 퓨리 엔비디아 총괄부사장(왼쪽 세번째)를 비롯한 주요 임원들과 만나 AI 생태계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사진제공=과기정통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 두번째)이 미국 엔비디아 본사를 방문해 제이 퓨리 엔비디아 총괄부사장(왼쪽 세번째)를 비롯한 주요 임원들과 만나 AI 생태계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사진제공=과기정통부)
엔비디아의 초청을 받아 미국 본사를 방문한 유상임 장관은 제이 퓨리(Jay Puri) 총괄 부사장, 칼리스타 레드몬드(Calista Redmond) 부사장 등 엔비디아 주요 임원들과 대한민국 AI 인프라 역량 확충을 비롯해 AI 생태계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아울러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엔비디아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연내 원활한 첨단 엔비디아 GPU 확보 등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글로벌 AI 인재 유치를 위한 한국의 AI 연구 환경을 개선하고자 실리콘밸리에 근무하는 AI 분야 연구·산업계 재미 한인 과학자들을 만나 다양한 의견을 청취했다.

유상임 장관은 “한국의 글로벌 공동연구 투자 규모 중 미국과의 협력 비중이 가장 큰 현실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변화된 R&D 정책방향과 연구보안 강화 정책이 우리 R&D에 미치는 영향을 빨리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금번 방미를 계기로 미측과 차질없는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고 이번에 논의한 내용을 한미 R&D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엔비디아와의 GPU 협력 모색에 착수한 바 국내 AI 연구환경이 대폭 개선되기를 기대한다”고 성과를 부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경기·인천·강원 호우특보 발령…안전재난문자 발송
  • [상보] 미국 “한국, 국방비로 GDP 5% 지출해야”…약 2배로 증액 전망
  • [날씨] 전국 장마 시작…강풍 동반해 시간당 최대 50㎜ 쏟아져
  • [상보] 백악관 “트럼프 이란 공격 여부 2주내 결정⋯협상 가능성도 상당”
  • ‘서울대 10개 만들기’ 입시 병목 해법 되나…“재정마련 시급”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⑩·끝]
  • '나솔사계' 17기 옥순, '나솔'서 최종 선택 안한 이유⋯"확신 드는 사람 없어"
  • 비비탄 총 쏴 남의 개 죽인 해병⋯해병대 "사안 엄중해, 법으로 조치할 것"
  • "100세 시대, 은퇴 파산 막으려면 '4% 법칙' 지켜야"[2025 생애주기 맞춤 콘서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10:3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453,000
    • -0.68%
    • 이더리움
    • 3,484,000
    • -0.43%
    • 비트코인 캐시
    • 685,500
    • +8.04%
    • 리플
    • 2,985
    • -0.8%
    • 솔라나
    • 202,100
    • -0.44%
    • 에이다
    • 830
    • -1.07%
    • 트론
    • 378
    • -0.53%
    • 스텔라루멘
    • 344
    • -1.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330
    • +4.23%
    • 체인링크
    • 17,990
    • -1.32%
    • 샌드박스
    • 349
    • -1.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