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모멘텀 ‘공정 연구소’ 신설…차세대 배터리 개발 가속

입력 2025-05-14 09: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화모멘텀, 이차전지 R&D센터 ‘공정 연구소’ 신설
차세대 배터리 장비·공정 기술 연구개발 전담

▲류양식 한화모멘텀 대표(가운데)를 비롯해 (왼쪽부터)이창호 기획실장, 류희연 R&D센터장, 안우성 영업마케팅실장, 유도근 경영지원실장이 이차전지 R&D센터 공정 연구소 현판식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 한화모멘텀)
▲류양식 한화모멘텀 대표(가운데)를 비롯해 (왼쪽부터)이창호 기획실장, 류희연 R&D센터장, 안우성 영업마케팅실장, 유도근 경영지원실장이 이차전지 R&D센터 공정 연구소 현판식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 한화모멘텀)

한화모멘텀은 첨단 배터리 장비 개발을 위해 이차전지 연구개발(R&D)센터 공정 연구소를 신설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고 14일 밝혔다.

전날 충남 아산 사업장에서 열린 현판식에는 류양식 한화모멘텀 대표와 류희연 이차전지 R&D센터장, 이형섭 전공정실장을 비롯한 임직원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차전지 R&D센터가 있는 한화모멘텀 아산 사업장 내 조성된 공정 연구소는 전고체 배터리와 건식 공정과 같은 차세대 배터리 장비 및 공정 기술 연구개발을 전담한다.

설비 제작업체가 직접 공정 연구까지 하는 건 흔치 않은 일이다. 이번 연구소 신설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 강화는 물론, 더 효율적인 공정을 새롭게 제안하는 등 고객과의 협업 범위가 훨씬 커질 전망이다.

한화모멘텀은 이번 공정 연구소 신설을 기점으로 배터리 장비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다진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차전지 R&D센터를 통해 배터리 장비 공정 노하우를 확보하고 연구개발 프로젝트 운영 비용의 효율화도 꾀할 예정이다. 또 글로벌 기술 경쟁력 강화를 통해 시장 선점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앞서 한화모멘텀은 올해 초 건식 공정 기술 개발 연구에 대한 장비를 센터 내에 구축했다. 배터리 기술 특허 자료와 건식 배터리 재료 등도 전시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 배터리 셀 품질 및 안정성 평가와 전고체 공정 연구 공간을 추가로 구축할 예정이며, 연구 인력도 충원할 계획이다.

류희연 이차전지 R&D센터장은 “새롭게 구축된 공정 연구소를 통해 고객 서비스를 대폭 강화하고 한 단계 높은 장비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008,000
    • +0.49%
    • 이더리움
    • 3,998,000
    • -0.6%
    • 비트코인 캐시
    • 717,000
    • +1.77%
    • 리플
    • 3,763
    • +8.23%
    • 솔라나
    • 220,000
    • -1.39%
    • 에이다
    • 980
    • +5.26%
    • 트론
    • 413
    • +3.25%
    • 스텔라루멘
    • 526
    • +27.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390
    • -2.61%
    • 체인링크
    • 20,640
    • -0.77%
    • 샌드박스
    • 387
    • -1.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