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경상수지 91.4억 달러 흑자…23개월 연속 흑자
1분기 경상수지 192.6억 달러…전년동기보다 27.8억 달러 많아
“반도체, 고사양 수요로 좋을 것으로 예상하지만…美 규제 정책 영향 예상”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25년 3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경상수지는 91억4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1분기 기준으로는 192억6000만 달러로 작년 동기(164억8000만 달러)보다 많았다.
상품수지는 84억9000만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흑자폭이 소폭 확대됐다. 수출은 593억1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2.2%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이 1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하고 컴퓨터 수출 호조가 이어지며 IT품목의 증가율이 확대됐으며, 자동차, 의약품 등 일부 비IT품목도 늘었다.
품목별로 보면 3월 통관수출 기준(전년동월대비)으로 컴퓨터주변기기(31.7%), 의약품(17.6%), 반도체(11.6%) 등은 증가했다. 반면 철강제품(-4.9%), 석유제품(-28.2%) 등은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 11.0% △미국 2.3% △중국 -4.2% △일본 1.9% △EU 9.8% 등으로 나타났다.
수입은 508억2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2.3% 증가했다. 에너지 가격 하락이 지속됐으나 가스 도입물량이 늘어나며 원자재의 감소세가 축소되었고, 자본재와 소비재수입이 늘어나면서 증가폭이 확대됐다. 통관수입 기준으로는 원자재는 7.5% 감소한 반면 자본재는 14.1%, 소비재는 7.1% 각각 증가했다.
관련 뉴스
한은은 올해 2월 경제전망을 통해 경상수지 전망치를 750억 달러로 예상했다. 작년 11월에 전망치 800억 달러에서 낮춘 것이다. 한은은 이달 경제전망을 통해 경상수지 연간 전망치를 또다시 하향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1국장은 기자설명회에서 “1분기만 보면 작년 1분기보다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컸고, 조사국이 봤던 것보다 1분기 실적이 높게 나왔다고 평가한다”며 “그런데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이 생각보다 강하고, 광범위하게 시행될 것으로 예고되고 있어서 관세 정책 영향이 나타나면서 경상수지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의 관세정책 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전망을 줄이긴 할 텐데 어느 정도 줄일지는 조사국에서 이번 달에 전망을 발표하니깐 참고해야 할 것 같다”고 부연했다.
신 국장은 올해 들어 반도체 시장이 고사양 중심으로 실적을 내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미국의 반도체 정책을 주시해야 한다고 짚었다. 신 국장은 “전반적인 흐름 자체는 고사양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견조한 수요로 반도체 시장 자체는 좋을 것으로 보이는데 앞으로 미국이 반도체에 대한 품목 관세, 반도체에 대한 규제를 어떻게 할지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한 “최근에 나온 뉴스는 바이든 정부 때 했던 반도체 규제 정책을 트럼프 정부에서는 수정하겠다고 예고한 상황이어서 트럼프 반도체 정책에 대한 뉴스를 봐야 할 것 같고, 중국이 어떻게 대응할지가 이슈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의약품에 대해서는 관세정책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신 국장은 “최근에 대미 수출 중에 의약품이 높게 나오는데 의약품 품목 관세를 앞두고 바이오시밀러 제품, 위탁제품이 미국에 많이 수출되고 있다”며 “품목관세 시행을 앞두고 수출이 많이 되는 부분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