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공사, 삼성SDI와 '-40℃~80℃' 견디는 BESS' 실용화 착수

입력 2025-05-08 10: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차세대 배터리저장장치 안전기술로 386억 연구사업 수주
2028년까지 시제품 완성 목표

▲한국전기안전공사의 극한환경 대응 차세대 BESS 표준모델 개념도 (자료제공=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의 극한환경 대응 차세대 BESS 표준모델 개념도 (자료제공=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가 삼성SDI와 손잡고 극한 환경에서도 작동 가능한 차세대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BESS) 개발을 시작한다.

전기안전공사는 BESS 안전기술 개발을 위한 ‘극한 환경 대응 차세대 BESS 고신뢰성 검증 및 안전기술 개발’ 국가연구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공사의 전기안전연구원은 국산 BESS 국제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전 세계 다양한 운영환경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40℃~80℃의 극한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BESS 안전기술을 세계 최초로 고안했다. 이어 실용화를 위해 공모에 참여해 올해 386억 원 규모의 국가연구사업을 수주하는 데 성공했다.

BESS는 배터리에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전력이 필요한 시점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재생에너지 활용을 극대화하고 전력망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장치다. 최근에는 태양광, 풍력 발전 등 기후 변수에 민감한 에너지원을 보완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사업은 삼성SDI와의 협업으로 추진되며, 고신뢰성·고안전성을 갖춘 차세대 BESS 표준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공사는 2028년까지 자가진단·자가복구 기능, 낮은 에너지 손실률 등을 갖춘 시제품을 완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BESS 시장 선도에 나설 계획이다.

남화영 전기안전공사 사장은 “공사에 구축 중인 에너지저장장치(ESS) 및 무정전전원장치(UPS) 안전성 평가 시스템과 차세대 BESS 기술 개발을 기반으로 국내외 이차전지 산업의 안전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특허청과 UDC 기술 공유”…LG디스플레이, 차세대 기술 확보 사활
  • 폭염 고위험 사업장 6만 곳…직격탄 맞은 일터
  • “사라진 장마, 계속되는 폭염…한국 날씨에 무슨 일이?”
  • "놀라지 마세요" 대전서도 블랙이글스 비행연습
  • 신약개발 비용·시간 상당한데…‘오가노이드’ 기술 확보 각축전
  •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경영계 "민생경제 어려운 현실, 고심 끝 합의"
  • 7월 17일 제헌절, 공휴일에서 빠진 이유
  • ‘전세난’에…“차라리 청약” 눈돌리는 실수요자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15:1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921,000
    • +5.91%
    • 이더리움
    • 4,078,000
    • +7.77%
    • 비트코인 캐시
    • 711,500
    • +2.08%
    • 리플
    • 3,510
    • +6.95%
    • 솔라나
    • 224,200
    • +5.11%
    • 에이다
    • 947
    • +12.34%
    • 트론
    • 402
    • +1.52%
    • 스텔라루멘
    • 416
    • +5.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890
    • +6.68%
    • 체인링크
    • 21,090
    • +8.94%
    • 샌드박스
    • 400
    • +9.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