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병준 "대한민국 경제정책의 최우선 순위는 벤처・스타트업 육성"

입력 2025-04-29 1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사진제공=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사진제공=벤처기업협회)
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은 29일 "최근 벤처기업들이 처한 어려운 경제상황과 미래에 대한 역할을 고려할 때 대한민국 경제정책의 최우선으로 벤처・스타트업 육성이 될 수 있게끔 정책의 판을 바꾸어야한다"고 강조했다.

송 회장은 이날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첫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혁신기업과 생태계를 대변하는 대표단체의 수장으로서 막중한 책임을 느낀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송병준 회장의 취임 2개월을 맞아 출입 기자단을 초청해 취임 소감과 협회 주요사업・정책방향 등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송 회장은 임기 중 중점 추진 과제로 △벤처생태계 복원 △규제혁신 패러다임 전환 △민간 주도 AX생태계 플랫폼 구축 △기업가정신 확산 △혁신생태계 제1단체 입지 강화를 제시했다.

송 회장은 "글로벌 벤처 생태계를 살펴보면 생태계 고도화와 혁신 기업의 성장은 벤처투자 등 금융 시장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며 "현재 우리나라의 GDP 대비 벤처 투자 비율이 미국과 이스라엘에 비해 5분의 1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 12조 원 규모의 벤처투자 시장을 50조로 확대하기 위해 법정기금의 벤처스타트업 투자 의무화, 공적 연기금의 벤처 투자 허용 및 활성화, 회수시장 선순환 구조 마련 등 벤처생태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 회장은 혁신생태계 제1단체 입지 강화를 위해 "함께 하는 힘을 믿는다"며 "협회의 외연확장을 위해 혁신을 추구하는 모든 기업(대・중견기업, 금융사 등)들에게 협회 문호를 개방하고 함께 그 뜻을 펼치겠다"는 의지를 전했다.

이에 △퓨리오사AI △에이블리코퍼레이션 △비바리퍼블리카(토스) △SM엔터테인먼트 △네오위즈 △그레이스 △스테이지파이브 등 다양한 분야의 대표기업들이 참여해 활동한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협회 3대 핵심 정책과제로 △혁신산업 금융유동성 강화 △근로시간 유연화 △규제혁신 기준국가도입을 제시하며 정책 제안 활동도 병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송 회장은 "현재 벤처기업의 상황은 마치 하늘에서 쏟아지는 장대비를 고스란히 맞고 있는 절체절명의 심각한 환경 속에 있다고"우려하며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벤처 생태계의 판을 바꿀 수 있는 시대 전환적 벤처 정책을 실현하는 데 협회가 구심점이 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美 원전 르네상스에 ‘관세·밸류업 수혜’ 제친 원자력 ETF
  • 李대통령, 안보실 1차장에 김현종...네이버 출신 하정우 AI수석 임명
  • 상장주 5개 중 1개가 신고가…"정책株 내 순환매 가능성"
  • 단독 "지출 최대한 줄여라"…기재부, 추경 앞두고 전부처 '불용예산' 훑는다
  • 금감원·카카오, 불법 채권 추심 카톡 계정 이용 정지한다
  • 서울시 "외국인 부동산 거래 자금조달 내역 면밀히 검증"
  • [르포]"일회용품 없는 야구장 만들자"…빗속 한화구장서 울린 '그린스포츠'
  • 단독 한국교육개발원, 동료 집단 신고에 ‘직장 내 갑질’ 직원 해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115,000
    • +0.42%
    • 이더리움
    • 3,525,000
    • +1.18%
    • 비트코인 캐시
    • 638,000
    • +7.86%
    • 리플
    • 3,000
    • +1.39%
    • 솔라나
    • 210,600
    • +5.3%
    • 에이다
    • 871
    • +1.16%
    • 트론
    • 378
    • +0.8%
    • 스텔라루멘
    • 356
    • +0.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320
    • +1.33%
    • 체인링크
    • 18,190
    • +1.06%
    • 샌드박스
    • 364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