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재 54분' 바이에른 뮌헨, 도르트문트와 2-2 무승부

입력 2025-04-13 10: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민재(오른쪽) (AP/연합뉴스)
▲김민재(오른쪽) (AP/연합뉴스)

김민재가 54분 활약에 그친 바이에른 뮌헨이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 무승부에 그쳤다.

뮌헨은 13일(한국시간) 독일 뮌헨의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열린 '2024-2025시즌 독일 분데스리가' 29라운드 홈경기에서 도르트문트와 2-2로 비겼다.

이날 무승부로 21승 6무 2패(승점 69)가 된 뮌헨은 여전히 리그 선두로, 2위 레버쿠젠(18승 9무 2패·승점 63)과의 승점을 6점 차로 유지하는데 그쳤다.

이날 선발 출전한 김민재의 활약은 다소 아쉬웠다. 선제골 실점 빌미까지 안겨주면서 결국 후반 9분 교체됐다.

전반전은 뮌헨의 공세가 활발하게 펼쳐졌다. 뮌헨은 수차례 슈팅을 이어갔지만 결정적인 득점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상대 수비와 골키퍼의 선방에 막힌 뮌헨은 오히려 후반 들어 도르트문트에 선제골을 내줬다. 후반 3분 오른쪽 측면에서 율리안 뤼에르손이 중앙으로 올려준 크로스를 막시밀리안 바이어가 헤딩 슈팅으로 득점에 성공했다. 김민재가 바이어를 놓친 것이 아쉽게 실점의 빌미가 됐다.

뮌헨은 반격은 계속됐다, 후반 20분 교체 투입된 세르쥬 그나브리가 왼쪽 측면을 돌파하다 중앙으로 내줬고 이 공을 토마스 뮐러의 발을 거쳐 라파엘 게레이로가 받아 오른발 슈팅으로 연결했다. 이 슈팅은 도르트문트의 골문으로 그대로 빨려 들어갔다.

이어 4분 뒤에는 그나브리의 원맨쇼가 펼쳐졌다. 그나브리는 왼쪽 측면에서 중앙으로 드리블로 돌파하다가 골키퍼와 1대 1 찬스에서 오른발 슈팅으로 추가골에 성공했다.

하지만 도르트문트의 반격도 만만치 않았다. 후반 30분 코너킥 상황에서 중앙으로 올려준 공이 여러 선수들을 거쳐 혼전 상황이 나왔다. 이때 이 공이 발데마르 안톤에게 갔고 안톤이 달려들며 동점골을 뽑아냈다.

결국 이 골로 양팀은 승부를 내지 못한 채 2-2 무승부로 경기를 마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중갈등ㆍ관세전쟁, ‘ESG 경영’ 난관…전문가들 지속가능 전략 모색 [2025 지속성장전략 포럼]
  • 단독 삼성월렛, 新 상품권 출원⋯뉴 디지털 금융 플랫폼 대전환 예고
  • 상대방 송금계좌가 의심된다면…‘사기 의심 계좌 조회 서비스’로 확인해보자 [경제한줌]
  •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0.8% 하향 조정…“건설경기 부진 및 소비 회복 더뎌”
  • 팅커벨 출몰…2025버전 동양하루살이 전쟁 발발 [요즘, 이거]
  • "투표지 SNS에 올리면 벌금"…21대 대선 사전투표 유의사항은? [데이터클립]
  • 대기업 몰리자 ‘20억’ 신고가⋯훈풍 부는 마곡 집값
  • "입덕 계기? '고잉 세븐틴' 봤어요"…요즘 아이돌은 '자컨'으로 말한다 [엔터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696,000
    • -0.04%
    • 이더리움
    • 3,703,000
    • +0.82%
    • 비트코인 캐시
    • 576,500
    • +1.41%
    • 리플
    • 3,184
    • +0.92%
    • 솔라나
    • 237,100
    • -0.08%
    • 에이다
    • 1,031
    • -0.67%
    • 이오스
    • 1,025
    • -0.58%
    • 트론
    • 385
    • +0.52%
    • 스텔라루멘
    • 397
    • +0.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200
    • +0.82%
    • 체인링크
    • 21,490
    • -0.6%
    • 샌드박스
    • 422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