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파인더 "아이텍, 팹리스ㆍ디자인하우스 고객사 다수…국내 유일 장비 보유"

입력 2025-03-19 08: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밸류파인더)
(출처=밸류파인더)

밸류파인더는 19일 아이텍에 대해 팹리스 및 디자인하우스 업체를 주요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 테스트하우스 중 유일하게 도입한 장비로 차세대 반도체 산업 수혜를 입을 것으로 분석했다.

아이텍은 반도체 테스트를 전문으로 생산·제조하는 업체다. 메모리반도체를 포함한 반도체 시장 중 약 70%를 차지하는 시스템반도체 테스트가 주요 사업이며, 연간 생산능력은 매출액 기준 약 550억 원이다. 현재 팹리스 업체 텔레칩스, LG전자, 디자인하우스 업체 에이직랜드, 가온칩스 등 국내외 160개 이상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다.

이충헌 밸류파인더 연구원은 "아이텍은 테스트하우스 중 유일하게 5나노 언더와 인공지능(AI) 반도체를 테스트할 수 있는 장비인 ‘V93K-PS5000’를 보유하고 있다"라며 "AI 반도체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최신 테스터인 실장테스트(System level TEST) 핸들러가 필요한데, 전 세계 AI 칩 팹리스 기업 중 엔비디아를 포함한 80% 이상이 그들의 AI 칩 테스트를 위해 해당 장비를 사용한다"라고 전했다.

이어 "동사는 2022년도에 국내 테스트 하우스 중 최초로 ‘V93K-PS5000’을 2대 도입해 운영 중이며, 2026년도에는 5대까지 추가 도입할 예정인 것으로 파악된다"라며 "높은 전력 소모량을 가진 AI 반도체를 테스트하는 ATC(Auto Thermal Control) 기능을 가진 핸들러도 도입해 AI 반도체 양산 적용 중이다"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원은 "동사 주력 사업인 반도체 테스트 사업에서 가장 성장성이 기대되는 방향은 팹리스와 디자인하우스향"이라며 "반도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시스템반도체 산업 성장은 향후 AI 반도체와 차량용 반도체가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그 과정에서 전공정에서의 미세화로 인해 패키징 중심의 후공정 기업 기술이 점차 부각 받을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더불어 "자율주행차량과 연결되는 차량용반도체 산업도 부각 받을 수 있다"라며 "자율주행차량에는 고사양 반도체가 더 추가될 것이라는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성능 개선을 위한 테스트의 중요성이 주목받을 것으로 판단된다"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글로벌 자금 빨아들이는 美…한국시장 투자는 ‘찬바람’만 [2025 ‘코피티션’ 中]
  • '애플 천하' 日 태블릿 시장, 삼성전자, 2%대 점유율 탈출할까
  • 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익 '7조4405억'…"2분기 최고 실적 또 경신"
  • 은행 퇴직연금 수익률 ‘급락’…환차손·증시 불안 여파
  • 이커머스 시장 균열 오나…‘2%p 격차’ 네이버 맹공에 쿠팡 점유율 변화 주목
  • 구단 역사 쓴 한화의 '선발 8연승'…KBO 역사도 쓸까?
  • 새색시 에일리, 남편 최시훈과 결혼 여운 여전히…유재석부터 인순이, 손연재, 거미까지 총출동
  • '골때녀' 원더우먼, 월드클라쓰에 5-0 대승…'한일전 에이스' 마시마 멀티골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12:5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850,000
    • -0.35%
    • 이더리움
    • 2,536,000
    • -1.36%
    • 비트코인 캐시
    • 517,500
    • +1.27%
    • 리플
    • 3,122
    • -2.38%
    • 솔라나
    • 212,000
    • -0.75%
    • 에이다
    • 977
    • -1.41%
    • 이오스
    • 919
    • -5.26%
    • 트론
    • 350
    • -1.41%
    • 스텔라루멘
    • 374
    • -2.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460
    • -1.74%
    • 체인링크
    • 20,910
    • +1.41%
    • 샌드박스
    • 417
    • -2.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