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TI-성균관대 이온 및 전자 전도성 향상 기술 개발

입력 2025-03-14 09: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단) 고체 전해질(노란색 영역)과 CNF(검은색 선)를 단순 혼합한 전극 내에서는 이온과 전자가 고르게 이동하지 못하지만, (하단) 활물질(회색 영역) 사이에 고체 전해질(노란색)과 CNF(검은선)의 복합체를  사용할 경우 이온과 전자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사진제공-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상단) 고체 전해질(노란색 영역)과 CNF(검은색 선)를 단순 혼합한 전극 내에서는 이온과 전자가 고르게 이동하지 못하지만, (하단) 활물질(회색 영역) 사이에 고체 전해질(노란색)과 CNF(검은선)의 복합체를 사용할 경우 이온과 전자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사진제공-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김영준 성균관대 교수 연구팀과 전고체 전지의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전고체 전지의 전극은 이온과 전자 전도성을 동시에 극대화하는 것이 주요 기술적 과제다.

KETI와 연구팀은 고체 전해질과 탄소 나노섬유를 함께 합성하는 방식을 개발해 전도성을 향상시키고 충·방전 속도와 수명 개선을 확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發 관세전쟁에 코스피 시총 지각변동...한화에어로 현대차 맹추격
  • "이 핑계로 미루고, 저 핑계로 늦추고"…개점휴업 연금특위
  • 공천 개입에 도이치 주가조작까지…檢, 김여사 조사 초읽기
  • PASS 앱 '명의 도용 방지' 서비스, 여전히 '먹통'…"서비스 재개 언제?"
  • 카카오, 드디어 AI '카나나' 첫 선…분위기 반전 노린다
  • 올해 교대 수시, 내신 6등급도 합격·신입생 미충원 속출
  • 막 오른 위성통신 경쟁…스타링크·원웹 韓 진출 임박, 아마존은 아직
  • 1분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 2만건 육박…2021년 이후 최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358,000
    • -0.31%
    • 이더리움
    • 2,619,000
    • +0.85%
    • 비트코인 캐시
    • 512,500
    • -4.92%
    • 리플
    • 3,151
    • -0.41%
    • 솔라나
    • 213,600
    • -2.29%
    • 에이다
    • 1,018
    • -2.21%
    • 이오스
    • 986
    • -2.47%
    • 트론
    • 366
    • +3.98%
    • 스텔라루멘
    • 418
    • -0.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50
    • -1.19%
    • 체인링크
    • 21,420
    • -1.74%
    • 샌드박스
    • 443
    • -2.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