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권한대행 "반도체 특별연장근로 3→6개월 확대, 특례 신설"

입력 2025-03-12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년에는 ‘정부 R&D 30조 원 시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민생범죄 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민생범죄 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장기간 연구개발(R&D)이 필요한 반도체 산업 특성을 고려해 1회당 인가기간을 6개월로 확대하는 특례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현행은 1회당 최대 3개월이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기업들이 필요시 근로시간을 더욱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를 보완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대행은 "반도체 산업의 치열한 기술 경쟁에서 앞서나가기 위해서는 핵심 인력들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여건이 절실하다"며 "이를 위해 근로시간 특례 규정이 반도체특별법에 포함돼야 하지만,여야간 입장차이가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 보완으로 3개월 최대 64시간 근로에서 첫 3개월 주 최대 64시간, 추가 3개월 주 최대 60시간 근로가 가능해진다.

최 대행은 "특별연장근로 재인가 신청 부담을 완화하는 한편 건강검진 의무화 등 근로자 건강권 보호조치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최 대행은 또 2026년 국가연구개발 핵심 투자방향과 관련해 "내년에는 ‘정부 R&D 30조 원 시대’라는 새로운 지평을 열어 연구개발의 열기를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AI, 바이오, 양자 등 3대 게임체인저 분야와 반도체, 차세대통신, 모빌리티 등 국가전략 분야에 더욱 집중하겠다"며 "연구개발 성과가 우리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지도록 R&D 과제와 사업화 간 연계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연구 현장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한 지원도 지속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AI+S&T 활성화 방안과 관련해선 "신약, 신소재 등 8대 고난도 연구분야의 AI 모델을 개발하고 재난·범죄예방을 위한 안전기술 개발에도 AI를 활용하겠다"며 "연구개발 전용 AI 컴퓨팅 자원을 확충하고 정부 R&D 데이터 수집‧활용체계를 구축해 AI 기반 인프라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산업 특수분류 개발 활성화 방안과 관련해 "반도체소재, 첨단바이오 등에 대한 산업 특수분류를 연내 개발하고 우주항공, 첨단모빌리티 분야 개발도 바로 착수하겠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전국 동시다발 산불에 진화 총력…축구장 4600개 규모 불타
  • 예상 깬 의대생들 복귀…'단일대오' 깨지나
  • 국민연금 개혁에 뭉친 與野 3040…“내년부터 국고 투입하자”
  • 권성동, 연금개혁 반발에 “불가피한 측면 있어…구조개혁 완성 최선”
  • 어깨 무거워진 카카오 정신아…리더십 시험대
  • 토허제 시행 초읽기에 콧대 꺾은 잠실·용산 집주인…“집값 또 오른다” 시장 불신은 ‘여전’ [르포]
  • 벚꽃 없는 벚꽃 축제 될라…일본, 지구온난화에 ‘벚꽃 경제’도 흔들
  • ‘한덕수 탄핵 선고’, ‘李 2심’ 몰린 한 주…與野 셈법은
  • 오늘의 상승종목

  • 03.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614,000
    • +1.24%
    • 이더리움
    • 2,962,000
    • +1.2%
    • 비트코인 캐시
    • 478,200
    • +0%
    • 리플
    • 3,561
    • +1.63%
    • 솔라나
    • 195,700
    • +2.89%
    • 에이다
    • 1,046
    • +0.77%
    • 이오스
    • 844
    • +3.18%
    • 트론
    • 345
    • -0.58%
    • 스텔라루멘
    • 416
    • +2.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300
    • -0.3%
    • 체인링크
    • 21,300
    • +1.77%
    • 샌드박스
    • 419
    • +0.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