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증권 "한국항공우주, 올해 실적 개선세 본격화 원년…목표가↑"

입력 2025-03-11 08: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투자의견 ‘매수’ 유지…목표주가 9만8000원 상향

(사진=현대차증권)
(사진=현대차증권)

현대차증권은 11일 한국항공우주에 대해 동사의 전투 체계가 미래 전쟁에서 핵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올해부터 본격적인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며 투자 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 주가를 9만8000원으로 상향했다.

곽민정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인공지능(AI), 드론발 글로벌 방산 재편의 흐름 속에, 3세대 전쟁은 공중/우주전력이 전쟁의 핵심 전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정확도, 속도, 치명성을 높이고 데미지를 최소화하는 ‘Sensor to Shooter’가 미래 전쟁의 핵심"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지난달 26일 이탈리아 레오나르도(Leonardo)가 터키 드론 업체인 바이락타르(Bayraktar)와 협력, 무인 항공기 개발 및 유럽 내 드론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라는 점도 이러한 방향성과 일치한다"라며 "동사의 유무인 복합 체계(MUM-T)가 향후 국지방공체계의 핵심 전력이 될 것"이라 전망했다.

곽 연구원은 "전 세계 무인기 시장은 2034년 286억 달러로 연평균 6.7%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특히 러-우 전쟁은 무인기(UAV)의 효과성과 실용성을 입증, MUM-T에 대한 효율성을 보여줬다"라며 "동사는 차세대 공중전투체계(NACS) 실현을 위해 총 1000억 원 이상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특히 AI 소프트웨어(SW) 고도화 및 적용 확대를 위해 젠젠에이아이(GenGenAI)에 60억 투자, 팔란티어와의 협력 강화 등을 통해 유무인 복합 체계 핵심 기술인 AI 파일럿 기술 고도화 등 SW 역량 강화에 나서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그 외 최근 필리핀 공군이 FA-50 추가 도입에 대해 적극적으로 제안함에 따른 수주 기대감과 회전익 1조7000억 원, 국내 KF-21 최초 양산 물량 본격화 등에 따른 성장세가 본격화할 것"이라며 "2026년부터 실적 개선세가 가팔라지는 부분을 고려하여 방산 업종 내 탑픽(Top Pick‧최선호주)으로 제시하며, 목표 주가를 9만8000원으로 상향한다"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현대차,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공개…도요타 아성에 ‘도전장’
  • 나랏빚 빨간불...추경 편성으로 '적자성 채무' 900조 육박
  • 이재명, 영남서 대세 굳히나…김경수·김동연 반전 도전
  • 금리 인하기 리츠 리파이낸싱 ‘탄력’…자산 편입 기대감도
  • ‘불닭 신화’ 이룬 삼양식품…임직원 근속은 뒷걸음질[유통업 지속가능 보고서⑦]
  • 1년 200만 번 테스트…LG U+ 대전 R&D센터 [가보니]
  • 토허제 후폭풍에 증시 혼란까지…주담대·신용대출 다 늘었다
  • '그알' 아산 마약 음료 사망 사건, 전 남자친구가 범인?…"죽은 사람은 말이 없어" 증거인멸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960,000
    • +0.14%
    • 이더리움
    • 2,328,000
    • +0.65%
    • 비트코인 캐시
    • 491,400
    • +0.63%
    • 리플
    • 3,003
    • -0.43%
    • 솔라나
    • 203,400
    • +1.04%
    • 에이다
    • 909
    • -0.76%
    • 이오스
    • 917
    • +0.99%
    • 트론
    • 352
    • +0.86%
    • 스텔라루멘
    • 355
    • +0.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630
    • -0.1%
    • 체인링크
    • 18,840
    • +2.17%
    • 샌드박스
    • 385
    • +0.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