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쳐야 산다…'협업' 생존 전략 짜는 지방은행

입력 2025-01-30 15: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1-30 15:38)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지방은행, 지난 1년간 시중은행에
가계ㆍ기업대출 성장률 뒤처져
'4인뱅' 등 변수에 "협업 속도 내야"

지방은행들이 '협업'으로 활로를 찾고 있다. 자산 확대 전략만으로 시중은행을 따라갈 수 없는 만큼 핀테크사와 손을 맞잡고 수익성 향상과 경쟁력 제고에 나섰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방은행(부산ㆍ경남ㆍ전북ㆍ광주ㆍ제주ㆍiM뱅크)의 자산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267조8036억 원이다. 시중은행(국민ㆍ신한ㆍ하나ㆍ우리) 2135조3457억 원의 8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다. 자산 증가 속도도 뒤처진다. 지난해 시중은행의 자산 증가율은 전년 대비 6.67%로 지방은행(2.16%)을 웃돌았다.

양적ㆍ질적면에서 모두 시중은행에 밀려

원화대출금 성장 격차도 크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지방은행의 원화대출금은 202조8985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96% 증가했다. 은행별로 iM뱅크(전 대구은행) 성장률이 4.82%로 가장 컸고 광주은행(3.83%), 경남은행(3.18%), 전북은행(3.11%), 제주은행(2.95%), 부산은행(0.72%) 순이었다.

같은 기간 시중은행의 원화대출금은 1292조5123억 원으로 1년 새 9.31% 늘었다. 우리은행(12.17%), 신한은행(11.81%), 국민은행(7.81%), 하나은행(5.86%) 순으로 증가율이 크다. 시중은행의 원화대출금 잔액도 지방은행보다 6배나 많다.

지방은행들은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경쟁에서 모두 밀렸다. 1년간 시중은행의 기업대출이 10.22% 증가할 동안 지방은행은 3.95% 성장하는 데 그쳤다. 기업대출금 잔액은 시중은행(678조4078억 원)이 지방은행(129조6827억 원)의 5.2배였다. 가계대출의 경우 격차는 더 벌어졌다. 지방은행이 1.93% 증가할 때 시중은행은 8.13% 늘었다. 가계대출금 잔액은 시중은행(595조5729억 원)이 지방은행(69조4466억 원)보다 8.6배 컸다.

상환능력을 갖춘 우량 고객도 시중은행이 더 많다. 총여신 대비 무수익여신 비율은 지방은행이 0.3~1.26%, 시중은행이 0.17~0.27%로 각각 나타났다. 은행별로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제주은행이 1.26%로 가장 높고 부산은행(0.62%), 광주은행(0.56%), iM뱅크(0.53%), 전북은행(0.51%), 경남은행(0.30%) 순이다. 하나은행(0.27%), 국민은행(0.24%), 신한은행(0.2%), 우리은행(0.17%)이 뒤를 잇는다.

무수익여신은 이자조차 받지 못하는 대출이다. 원금과 이자가 3개월 이상 연체된 채권과 폐업 중인 업체에 내준 대출 등 채권 회수가 불가능한 이자미계상여신을 합한 규모다. 전체 여신에서 무수익여신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은행일수록 차주(대출받은 사람)의 상환 능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인터넷전문은행ㆍ핀테크사와 맞손

다방면에서 시중은행에 뒤처지는 지방은행의 극복 전략은 협업이다. 제4인터넷전문은행 등 새로운 '플레이어'가 금융시장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부산은행은 이달 23일 케이뱅크와 혁신금융 창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제휴’ 업무협약을 맺었다. 올 하반기 공동 개인대출 상품 출시를 시작으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고객을 위한 기업대출도 함께 선보이기로 했다. 전북은행은 올 상반기 중 카카오뱅크와 공동대출을 출시할 예정이다.

지난해 8월 ‘함께대출’을 출시한 광주은행과 토스뱅크는 협업을 통해 마케팅, 운영비용 등을 줄여 연간 약 33억 원의 이자비용 절감 효과를 냈다. 앞서 김기홍 JB금융 회장은 지난해 3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대출의) 부실률이 낮아 광주은행의 중요한 수익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iM뱅크는 지난해 11월 핀테크 기업 ‘웰스가이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자산관리 서비스 개발에 나섰다.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방은행이 디지털화를 추진할 때 시중은행에 비해 자금이 부족해 뒤처질 우려가 있다”며 “인터넷전문은행, 핀테크 기업 등과 적극적으로 협업하는 게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3→2.1→1.9→1.5%→?’ 하락하는 韓 경제…분기 단위, 9개월 만에 역성장 마주
  • 트럼프 앓고 있다는 ‘광선 각화증’ 어떤 병
  • 흥행 참패로 게임계 정치적 올바름 열풍을 식게 만든 ‘망작 5선’ [딥인더게임]
  • 오늘 민주당 첫 순회경선…'李 1강' 변화 생길까
  • 육성재·김지연 주연 로맨스 코미디 ‘귀궁’…넷플릭스, 사랑 가득 신작 공개
  • 나들이의 계절…익산 국가유산 야행부터 대전과학기술축제까지 [주말N축제]
  • [인터뷰] 제이슨 아티엔자 “한국 다채로운 공간에 영감…언젠간 내 조형물 설치하고파”
  • 실기·활동 없어도 예체능 학과 진학…논술·교과 전형 주목해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091,000
    • +0.55%
    • 이더리움
    • 2,338,000
    • +1.43%
    • 비트코인 캐시
    • 483,400
    • -1.95%
    • 리플
    • 3,019
    • +0.13%
    • 솔라나
    • 200,300
    • +3.3%
    • 에이다
    • 905
    • -0.11%
    • 이오스
    • 921
    • +0.66%
    • 트론
    • 348
    • -0.57%
    • 스텔라루멘
    • 357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90
    • +0.44%
    • 체인링크
    • 18,690
    • +2.3%
    • 샌드박스
    • 386
    • +2.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