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지하철 요금 150원 인상, 3월 넘기지 않을 것”

입력 2025-01-22 11: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세훈 서울시장이 22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신년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유튜브 갈무리)
▲오세훈 서울시장이 22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신년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유튜브 갈무리)

오세훈 서울시장이 3월 중 지하철 기본요금을 150원 인상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오 시장은 22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신년 간담회에서 “여러 기관이 협의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히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요금 인상이) 3월을 넘기지 않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원래 2023년도에 300원을 올리려던 것을 그해 10월에 1차로 150원을 올렸다”며 “작년에도 올리려고 했는데 정부가 물가 인상을 억제하기 위해 (요금 인상 시기 조절이) 필요하다는 협조 요청이 워낙 절실해서 작년에 미루었던 것이 올해까지 오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 시장은 “그런 경과를 기억하신다면 올 상반기에 올려도 조금도 어색함이 없다”고 덧붙였다.

오 시장은 “더군다나 기후동행카드를 활용하면서 많은 서울시민 여러분이 왕성하게 경제활동을 하실 수 있게 기초가 마련됐고 그 과정에서 혹시라도 늘어날 수 있는 적자 폭은 이 인상분으로 충분히 메울 수 있다”며 “교통요금 인상은 가급적이면 상반기 중에 경기, 인천과 협의를 해서 3월 중에는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봐진다”고 밝혔다.

아울러 오 시장은 기후동행카드 사용 증가로 인한 서울교통공사의 부담은 시에서도 나눌 것이라는 입장도 내놨다.

오 시장은 “기후동행카드를 많이 쓰면 그만큼 (서울교통공사의) 적자 폭이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그런데 이것은 일종의 교통 복지로 생각하고 시작한 사업인 만큼 그 돈을 아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 시장은 “다만 서울교통공사의 적자 폭이 늘어나는 것은 부담이기 때문에 서울시가 그 부담을 나누어 주겠다는 큰 틀에서의 원칙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지난달 27일 성남시와 ‘기후동행카드 사업 업무협약’을 맺을 당시에도 “정부에 기후동행카드 국비 지원을 건의하겠다”고 밝히며 기후동행카드로 인한 적자 부담을 줄이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음을 내비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 '나는 솔로' 25기, 두 커플 탄생했지만…처참한 라이브 분위기, 현커 여부는?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831,000
    • -1.05%
    • 이더리움
    • 2,534,000
    • -0.86%
    • 비트코인 캐시
    • 516,000
    • +0.1%
    • 리플
    • 3,105
    • -3.54%
    • 솔라나
    • 212,500
    • -1.98%
    • 에이다
    • 982
    • -1.41%
    • 이오스
    • 927
    • -3.84%
    • 트론
    • 350
    • -0.85%
    • 스텔라루멘
    • 377
    • -2.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510
    • -1.69%
    • 체인링크
    • 20,720
    • -0.96%
    • 샌드박스
    • 415
    • -2.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