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취임식 제스처 논란...“나치식 경례했다” [트럼프 취임]

입력 2025-01-21 13: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트럼프 지지자에 감사 표시 하는 도중 나치식 제스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캐피털 원 아레나에서 열린 대통령 취임 축하 행사에서 나치식 인사를 연상시키는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캐피털 원 아레나에서 열린 대통령 취임 축하 행사에서 나치식 인사를 연상시키는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실세로 급부상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취임식 도중 취한 제스처가 미국 온라인상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영국 BBC 등에 따르면 머스크는 이날 워싱턴D.C. 캐피털 원 아레나에서 열린 대통령 취임 축하 행사에서 트럼프의 등장을 앞두고 한 연설에서 트럼프 지지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표하는 과정에서 오른손을 가슴에 대고 가슴을 친 뒤 다른 팔을 앞으로 쭉 뻗는 제스처를 여러 차례 했다.

그는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감사하다”면서 “여러분의 노력 덕분에 문명의 미래가 보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제스처를 두고 온라인에서는 나치식 인사를 연상케한다는 지적이 빗발쳤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이름을 알린 공중 보건 전문가 에릭 페이글딩은 “맙소사. 머스크가 방금 TV에서 나치식 경례를 실시간으로 했다”고 비판했다. 이스라엘 일간 하레츠도 머스크가 “나치 독일과 가장 일반적으로 연관된 로마식 경례, 파시스트 경례”를 했다고 지적했다.

다만, 미국에서 반유대주의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이는 반(反)명예훼손연맹(ADL)은 이날 성명을 통해 머스크가 나치식 경례가 아닌 열정의 순간에 어색한 동작을 취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나치의 경례는 ‘손바닥을 아래로 하고 오른팔을 들어 올리는 것’으로 자체 정의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극우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은 머스크의 나치식 인사를 환영했다. 네오나치 그룹인 블러드 트리뷴의 크리스토퍼 폴하우스는 텔레그램에 머스크의 동작이 “실수였는지는 상관없다”면서 “즐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머스크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DOGE)의 단독 수장을 맡게 됐다. 머스크와 함께 공동 수장으로 지명됐던 바이오테크 기업가 출신 비벡 라마스와미가 사퇴의사를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전국 동시다발 산불에 진화 총력…축구장 4600개 규모 불타
  • 예상 깬 의대생들 복귀…'단일대오' 깨지나
  • 국민연금 개혁에 뭉친 與野 3040…“내년부터 국고 투입하자”
  • 울산·의성 등 경상지역 산불 이틀째 진화 中…산불 원인은?
  • 어깨 무거워진 카카오 정신아…리더십 시험대
  • 2호선 ‘홍대입구~서울대입구’ 운행 중단…대체 버스 11대 투입
  • 프로야구 매진 행렬 계속되나…23일 선발 투수ㆍ중계 일정은?
  • 1년 반만에 공매도 재개, '로봇·화학·철강' 종목 주의
  • 오늘의 상승종목

  • 03.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449,000
    • +0.11%
    • 이더리움
    • 2,970,000
    • +1.47%
    • 비트코인 캐시
    • 478,100
    • -0.29%
    • 리플
    • 3,533
    • -0.2%
    • 솔라나
    • 193,700
    • +1.73%
    • 에이다
    • 1,052
    • +0.19%
    • 이오스
    • 822
    • +0.37%
    • 트론
    • 354
    • +2.31%
    • 스텔라루멘
    • 412
    • +0.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700
    • +1.52%
    • 체인링크
    • 21,110
    • +1.54%
    • 샌드박스
    • 420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