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 모두를 깨웠던 '비상계엄'…해제까지 단 6시간

입력 2024-12-04 06:27 수정 2024-12-04 06: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이 가결되자 계엄군이 국회에서 철수하고 있다. 이날 계엄군은 3일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하자 헬기 등을 동원해 국회 경내와 본회의장이 있는 본청에 강제 진입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이 가결되자 계엄군이 국회에서 철수하고 있다. 이날 계엄군은 3일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하자 헬기 등을 동원해 국회 경내와 본회의장이 있는 본청에 강제 진입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어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재석 190명, 찬성 190명으로 가결됐다. 조현호 기자 hyunho@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어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재석 190명, 찬성 190명으로 가결됐다. 조현호 기자 hyunho@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약 6시간 만에 해제를 선포했다.

윤 대통령은 4일 새벽 4시 27분께 용산 대통령실에서 생중계 담화를 통해 "어젯밤 11시를 기해 국가의 본질적 기능을 마비시키고 자유민주주의 헌정 질서를 붕괴시키려는 반국가세력에 맞서 결연한 구국의 의지로 비상계엄 선포했다"며 "그러나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가 있어 계엄 사무에 투입된 군을 철수시켰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발표 이후 정부는 오전 4시 30분 국무회의를 열어 '계엄 해제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앞서 윤 대통령은 전날 오후 10시 25분께 같은 방식으로 계엄을 선포했다. 한밤 모두를 놀라게 했던 '비상계엄'은 6시간 만에 막을 내렸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내외 언론과 정치권 모두 혼란에 빠졌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카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도 '비상계엄' 상황에 대한 우려, 비판이 쏟아졌다. 트래픽 증가로 네이버 카페 등 접속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비상계엄 선포 한 시간만인 오후 11시 30분께 계엄사령부가 설치됐다. 계엄사령관인 박안수 육군참모총장(대장)은 '계엄사령부 포고령(제1호)'을 발표했다. 포고령에는 '국회와 지방의회, 정당의 활동과 정치적 결사, 집회, 시위 등 일체의 정치활동을 금한다', '모든 언론과 출판은 계엄사의 통제를 받는다', '사회혼란을 조장하는 파업, 태업, 집회행위를 금한다' 등의 내용이 담겼다.

해당 내용은 외신도 긴급 타전에 나섰다. CNN과 BBC 또한 헤드라인 기사로 '한국의 비상계엄 선포'를 실었고, 일본 아사히 신문과 닛케이 신문도 한국의 계엄 발령 소식을 1면 톱 기사로 배치했다.

국회에 군과 경찰이 배치되며 국회의원의 출입을 막는 듯한 상황도 펼쳐졌다. 하지만 야당 주도로 열린 본회의에 국민의힘 소속 친한계(친 한동훈) 의원까지 190명이 참석했다. 본회의 모인 의원들의 전원 찬성으로 계엄 해제 요구안이 통과되며 '비상계엄' 상황은 마무리가 됐다.

합동참모본부는 비상계엄에 투입됐던 병력이 4일 오전 4시 22분부로 원소속 부대로 복귀했다고 밝혔으며, 군에 설치됐던 계엄사령부는 윤 대통령의 담화와 함께 해체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오리지널 캐릭터와 함께 돌아온 ‘진삼국무쌍 오리진’, 서사와 재미 챙겼다 [딥인더게임]
  • "27년간 동결된 국민연금 보험료율…9%→13%로 인상해야"
  • 집값 내림세에 지방 청약 시장은 ‘시름시름’…청약통장 해지도 늘어만 간다
  • ‘2월엔 진짜 굿바이~’...추억의 롯데월드 어트랙션, 마지막으로 타볼까[주말엔]
  • "겨울 얼음낚시, 이것만 알고 가세요"…알고 잡으면 더 맛있는 겨울철 별미 [레저로그인]
  • "불닭가티 불다기온앤온"…'불닭볶음면' 공식 SNS, 해킹 아닙니다! [솔드아웃]
  • 테라·루나 사태 담은 송재림 유작 '폭락'…이면의 어둠 드러낸다 [시네마천국]
  • 한탄강서 펼쳐지는 트레킹…공주 대표 간식 '군밤' 축제도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1.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087,000
    • +2.57%
    • 이더리움
    • 5,010,000
    • +1.01%
    • 비트코인 캐시
    • 707,500
    • +0.64%
    • 리플
    • 4,782
    • -1.89%
    • 솔라나
    • 329,400
    • +5.64%
    • 에이다
    • 1,637
    • -0.61%
    • 이오스
    • 1,398
    • -5.8%
    • 트론
    • 369
    • +3.07%
    • 스텔라루멘
    • 701
    • -3.1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700
    • -1.7%
    • 체인링크
    • 36,410
    • +4.72%
    • 샌드박스
    • 958
    • +1.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