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번의 블랙데이 후 반등했지만···경제, 지금이 더 위험한 이유 3가지

입력 2024-08-06 09:58 수정 2024-08-06 10: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내외 거시건전성 점검 결과에 따른 국가 분류 
자료 국제금융센터
▲대내외 거시건전성 점검 결과에 따른 국가 분류 자료 국제금융센터
금요일, 월요일 그리고 화요일.3거래일 새 2번의 블랙 데이와 급반등이 한국 금융시장을 들어다 놨다한다. 6일 코스피지수는 오전 9시 51분 현재 5.02% 상승한2563.82에 거래 중이다. 4년 2개월만에 프로그램매수호가 일시효력정지(사이드카)도 발동됐다.

주변국 증시도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다. 일본 닛케이 225지수는 하루 전보다 10% 이상 상승한 3만4000 선에서 거래 중이다. 서울 외환시장도 안정을 되찾았다.

하지만 시장에는 불안감이 감돌았다. 5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R’(경기침체) 공포에 무너진 탓이다. 7월까지만 해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실기론과 경기침체 우려가 세계 경제를 뒤흔들 거란 예상은 많지 않았다. 하지만 “괜찮겠지”→”설마”→”아차”까지 불과 한 달이 걸리지 않았다. 시장에서는 불안한 투자자가 자산 현금화에 나서면서 금융시스템이 요동치고, 그 파장이 실물 경제까지 흔들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경제위기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한국이 처한 상황, 대처 여력 등을 고려할 때 미국발 ‘R’의 공포가 몰고올 내상이 작지 않을 거로 보인다.

전 세계로 확산한 위기의 불씨

한국이 겪었던 수차례의 경제위기를 다시 보면 지금과 차이가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미국발 ‘R’의 공포가 일단 전 세계적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김희진 국제금융센터 책임연구원은 “올해 들어 미국 경제의 양호한 성장세 및 디스인플레이션 진전 흐름이 계속됨에 따라 연착륙 전망이 주식시장의 기본 시나리오로 고착됐고, 경기침체 우려는 사실상 주가에 반영되어 있지 않았던 상태였다”면서 “만약 경기둔화가 시장 예상보다 심각한 수준으로 판명될 경우 주가 전반의 밸류에이션 수준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면서 하락세가 장기화될 위험도 존재한다”라고 했다.

JP모건 등 투자은행들은 “미국의 잠재적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로 글로벌 주식시장에 대한 보수적 접근을 권한다”면서 “당분간 흐름을 반전시킬 요인을 찾기 어려우며 시장심리 회복을 위해서는 빅테크의 반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먹구름 드리우는 실물경제

시장에선 이번 위기가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전 세계적인 시스템 위기로 발전하진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금융위기 이후 위험 자산 투자 규제가 강화돼 당시보다 자산 건전성이 좋다는 게 핵심 근거다. 금융만 보면 그럴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은 실물경제가 무너질 수 있다는 경고가 있다. ‘펀드멘털은 좋다’와 같은 지지대가 없는 상황이란 뜻이다.

실물경제는 전세계가 체인처럼 얽혀 있다. 이 때문에 미국경제의 경착륙 공포는 이를 단시간에 파괴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은 한층 강할 수 있다. 작년부터 미국의 견조한 소비와 투자에 힘입어, 자동차·정보기술(IT)을 중심으로 대미수출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미국 수출이 고꾸라질 경우 하반기 경기 회복세에도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은 1분기 1.3% 깜짝 성장한 뒤 2분기엔 역성장(-0.2%)했다. 정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6%다.

인공지능(AI) 거품론도 부담이다. AI 시장이 위축된다면 한국 수출품목 1위인 반도체 산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주가가 내리고 미국 경제의 침체가 현실화한다면 우리 경제의 소비·투자가 원래 경로보다 위축되거나 회복이 뒤로 밀릴 가능성이 있다”며 “경제 성장률에 비해서 체감은 잘 안 되는, 온도 차가 있는 양극화된 경기 흐름이 더 심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부 신흥국들은 위험권에 있다.

남경옥 국제금융센터 부전문위원은 “일부 국가의 취약성이 심화한 측면이 있으나 신흥국 전반의 펀더멘털은 양호한 편이다”면서도 “대내외 여건 악화시 취약 신흥국을 중심으로 리스크 확대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고 위험군으로 아르헨티나(역성장/고물가/단기외채), 이집트(쌍둥이적자/정부부채/이자비용), 나이지리아(고물가/외환보유액/환율), 튀르키예(고물가/쌍둥이적자/외채), 남아프리카공화국(성장정체/이자비용/부실채권) 을 꼽았다.


美 침체 공포가 진정되거나 금리 외 쓸만한 카드가 없다

5일(현지시각) 뉴욕 증시가 급락했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측은 말을 아낀다.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오전 CNBC방송에 출연해 “경제가 둔화하는데도 제약적 수준의 금리를 유지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라며 연준의 통화정책이 지나치게 제한적이었을 수 있었음을 인정했다. 그는 연준의 구체적 대책에 대한 언급을 삼가며 “경제 상황이 체감 수준으로 악화되면 연준이 해결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주식시장 공포를 잠재우는 데는 한계였다. 유럽중앙은행(ECB)도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여러 나라의 경기둔화에 따라 6월 선제적으로 금리를 한차례 내렸지만, 미국발 폭풍을 막는데는 약효가 없었다. 시장 참여자들이 금리를 낮춰도, 돈이 돌아도 별 효과가 없을 거라고 시장이 판단한 셈이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세수 펑크’가 예상되면서 정부재정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올해 상반기 국세 수입은 168조6000억 원으로 작년 상반기보다 9조9800억 원(5.6%) 감소했다.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세수 결손이 확실시된다.

마땅한 카드가 없으니 일단 통화정책을 꺼낼 수밖에 없다. 한국은행도 8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는 게 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한은의 8월 금리 인하 개시와 연내 2회 인하를 예상한다”며 “내년 상반기 2%대 금리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 수도권 중심의 아파트 가격 상승과 급증한 가계부채는 한은의 선제적인 금리 인하 결정을 제약하는 걸림돌로 거론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예인 불법도박’ 명단에 추가된 이진호…빚 원금만 23억 ‘충격’ [해시태그]
  • "정년 지나도 일하고 싶다"…이유는 [데이터클립]
  • [인터뷰] 유발 하라리 "AI는 주체적 행위자, 인류가 위협받고 있다"
  • “일반 아파트 월세가 500만 원?”…서울 아파트 월세시장 펄펄 끓는다
  • ‘국내 1호 수직증축 리모델링 단지’ 잠실더샵루벤…"도심 공급 촉진 기대"[르포]
  • 뉴진스 하니 "민희진 vs 방시혁 갈등 알지만…일에도 영향 줘야 하나" [2024 국감]
  • 노벨경제학상 로빈슨 “한국의 포용적 제도가 경제 성공 배경”
  • 통일부 “北 1810억원 들인 남북연결도로 폭파, 강력 규탄...남북합의 위반”
  • 오늘의 상승종목

  • 10.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9,628,000
    • +2.96%
    • 이더리움
    • 3,533,000
    • +3.06%
    • 비트코인 캐시
    • 495,800
    • +8.23%
    • 리플
    • 734
    • +1.24%
    • 솔라나
    • 209,400
    • +2%
    • 에이다
    • 492
    • +3.36%
    • 이오스
    • 664
    • +2.31%
    • 트론
    • 214
    • -0.93%
    • 스텔라루멘
    • 127
    • +2.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700
    • +4.87%
    • 체인링크
    • 15,600
    • +5.69%
    • 샌드박스
    • 366
    • +0.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