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제주 지역 상생브랜드’ 출시해 동반성장 문화 확산

입력 2024-07-10 09: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주도-제주경제통상진흥원-동반위와 중기 협력체계 구축 등 MOU

▲9일 서울 중구 동반성장위원회에서 열린 ‘제주 지역 상생브랜드 출시 업무협약식’에서 (왼쪽부터) 오재윤 제주특별자치도 경제통상진흥원 원장,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 도지사, 오영교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 임정배 대상 대표이사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대상)
▲9일 서울 중구 동반성장위원회에서 열린 ‘제주 지역 상생브랜드 출시 업무협약식’에서 (왼쪽부터) 오재윤 제주특별자치도 경제통상진흥원 원장,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 도지사, 오영교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 임정배 대상 대표이사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대상)

대상이 제주도 지역과 동반성장을 위한 ‘상생브랜드’를 선보인다.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경제통상진흥원(진흥원), 동반성장위원회(동반위)와 함께 ‘제주 지역 상생브랜드 상품 출시’를 위한 4자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식품 브랜드 ‘청정원’을 보유한 대상과 제주도가 함께 지역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하고, 차별화된 제품 개발을 돕기 위해 마련됐다.

대상과 제주도의 청정 이미지를 활용한 신뢰도 확보 등 다양한 시너지 창출을 통해 제주 지역의 동반성장 문화 확산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대상은 이번 협약을 통해 상생브랜드 출시 참여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 지원, 상생브랜드 상품 기획 및 브랜드 마케팅 추진, 지역사회 환원 환류체계 마련 등을 약속했다.

중소기업과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과 도농교류 촉진,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출연 등 지역사회와 지속해서 상생할 수 있는 선순환 체계 마련에도 힘쓸 계획이다.

아울러 제주도와 진흥원, 동반위는 각각 상생브랜드 제품 홍보, 중소기업 추천과 행정지원, 협약 이행 여부 점검, 우수사례 발굴·확산 등에 앞장서기로 했다.

대상은 이번 협약을 통해 선보일 상생브랜드 제품에 제주산 원물 및 원료를 사용한 제품임을 증명하는 ‘JQ(Jeju Quality)’ 인증마크와 상생협력·동반성장을 나타내는 동이&반이 캐릭터를 활용할 예정이다.

임정배 대상 대표이사는 “상생협력모델이 성공적으로 가동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본 협약을 성실하게 이행하고 동반성장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도파민 터지지만, 피로감도↑…'이혼 예능' 이대로 괜찮을까 [데이터클립]
  • 여름철에 돌아온 액션 추리 프랜차이즈…'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시네마천국]
  • 세계 경제, ‘혼란의 시대’에도 연 3%대 성장 이어와⋯그 이유는
  • “선점하니 프리미엄”…신도시 첫 분양 단지, 시세차익 ‘더 유리’
  • 주말에도 물폭탄…당국 '비상모드'
  • “보증서 없이 600억 대출”…서울보증 전산 마비 사태로 드러난 '민낯'
  • 삼계탕 ‘2만원’ 시대...초복 '가성비 보양식' 경쟁 나선 유통가
  • 금산에서 삼계탕 잔치…울산서 바다 페스티벌도 열려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741,000
    • -1.2%
    • 이더리움
    • 4,901,000
    • -0.97%
    • 비트코인 캐시
    • 705,500
    • -1.26%
    • 리플
    • 4,715
    • -4.34%
    • 솔라나
    • 242,000
    • -2.93%
    • 에이다
    • 1,130
    • -4.8%
    • 트론
    • 445
    • -0.45%
    • 스텔라루멘
    • 632
    • -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710
    • +0.92%
    • 체인링크
    • 24,740
    • -4.77%
    • 샌드박스
    • 446
    • -4.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