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명선 양평원장 “일·생활 균형 보장되는 환경 만들어야” [저출생 해법모색 세미나]

입력 2024-06-11 15: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장명선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원장이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저출생 시대, 변화하는 일·생활균형’ 세미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투데이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과 함께 ‘저출생 시대, 변화하는 일·생활 균형 :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마련한 이번 세미나에선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 위기의 본질을 진단하고, 구체적 해결 방안 및 정책 등이 논의됐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장명선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원장이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저출생 시대, 변화하는 일·생활균형’ 세미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투데이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과 함께 ‘저출생 시대, 변화하는 일·생활 균형 :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마련한 이번 세미나에선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 위기의 본질을 진단하고, 구체적 해결 방안 및 정책 등이 논의됐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장명선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장이 “저출생이라는 사회적 변화에 직면한 우리는 문제 해결을 위해 일·생활 균형이 보장되는 환경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장 원장은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이투데이와 양평원이 함께 개최한 ‘저출생 시대, 변화하는 일·생활 균형: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세미나에서 개회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OECD 최저 수준이며, 10년 이내 인구변동의 여파가 우리 사회 곳곳에 파고들면서 이를 대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명선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원장이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저출생 시대, 변화하는 일·생활균형’ 세미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투데이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과 함께 ‘저출생 시대, 변화하는 일·생활 균형 :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마련한 이번 세미나에선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 위기의 본질을 진단하고, 구체적 해결 방안 및 정책 등이 논의됐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장명선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원장이 1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저출생 시대, 변화하는 일·생활균형’ 세미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투데이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과 함께 ‘저출생 시대, 변화하는 일·생활 균형 :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마련한 이번 세미나에선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 위기의 본질을 진단하고, 구체적 해결 방안 및 정책 등이 논의됐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장 원장은 “일·생활 균형은 기업과 근로자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라며 “특히 각 기업의 성공적인 사례는 우리 사회의 저출생 문제를 해결할 토대를 제공하고, 직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양성평등 문화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오늘 세미나에서 발표하는 7개의 기업은 유연근무제뿐만 아니라 각 기업만의 특색있는 다양한 복지 제도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라며 “다른 기업에도 널리 이 같은 문화가 확산돼 우리 사회의 일·생활 균형 문화가 자리 잡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근로자의 날’ 택배·은행·학교·유치원·마트·병원·주식시장 등 휴무 여부는?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비트코인, 일시 조정국면에도…전문가 "현 상황은 우호적" [Bit코인]
  • [종합] 검찰, ‘尹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 [종합] 삼성전자, 1분기 최대 매출 79조…갤럭시S25 잘 팔려 선방
  • '4연승' 한화 와이스도 예외없는 '성심당 웨이팅'…목격짤 퍼졌다
  • K-조선소 둘러보는 美해군성 장관…삼성중공업 빠진 이유는
  • [날씨] "외투 가볍게 걸치세요"…낮 최고 28도 전국 초여름 더위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231,000
    • -0.27%
    • 이더리움
    • 2,594,000
    • -0.95%
    • 비트코인 캐시
    • 522,500
    • -2.25%
    • 리플
    • 3,213
    • -2.25%
    • 솔라나
    • 211,200
    • -1.12%
    • 에이다
    • 1,001
    • -2.63%
    • 이오스
    • 989
    • -1.3%
    • 트론
    • 351
    • -1.68%
    • 스텔라루멘
    • 399
    • -1.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650
    • -4.12%
    • 체인링크
    • 20,910
    • -4.26%
    • 샌드박스
    • 420
    • -3.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