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독일 베바스토와 차량용 투명도 조절 필름 수주 계약

입력 2024-04-29 08: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동춘 LG화학 전자소재사업부장(앞줄 왼쪽)과 얀 헤닝 멜펠트 베바스토 첨단 유리 사업 총괄(앞줄 오른쪽)이 SGF 수주 계약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
▲김동춘 LG화학 전자소재사업부장(앞줄 왼쪽)과 얀 헤닝 멜펠트 베바스토 첨단 유리 사업 총괄(앞줄 오른쪽)이 SGF 수주 계약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

LG화학이 차량 선루프용 투명도 조절 필름 시장에 진출하며 전장 소재 사업 확장에 나선다.

LG화학은 독일 베바스토와 SGF(스위처블 글레이징 필름ㆍSwitchable Glazing Film)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수천억 원대에 이른다.

LG화학은 향후 수년간 SGF를 베바스토에 공급하고, 베바스토는 이를 활용해 첨단 선루프 시스템을 만들어 유럽 완성차에 탑재할 계획이다.

SGF는 전기 신호를 통해 빛과 열의 투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필름으로, 주로 선루프 등 자동차 유리에 쓰인다. 평상시에는 불투명하지만 전압이 가해지면 내부의 액정이 재배열되면서 투명하게 변한다.

최근 프리미엄 차량과 전기차를 중심으로 SGF 채용이 늘어나며 수년 내 조 단위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전망이다.

LG화학은 기존 디스플레이 · 반도체 등 전자 소재 분야에서 축적한 액정, 점ㆍ접착제 재료 기술과 정밀 코팅, 패턴 형성 기술 노하우를 통해 이미 국내외 200개 이상의 SGF 관련 특허를 보유 중이다. LG화학의 SGF는 타사 제품보다 빛의 간섭 현상이 적고 어느 방향에서 봐도 깨끗한 시야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LG화학은 올해 양산성을 확보하고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연간 자동차 300만대에 적용 가능한 규모의 SGF 생산 시설을 갖추고 있다. 향후 더 선명한 검은색과 빠른 응답 속도의 차세대 제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전면ㆍ측면 유리 등으로 SGF 적용을 확대하겠다는 목표다.

아울러 LG화학은 SGF외에도 전장용 접착제, 투명 안테나 필름 등 다양한 고부가 전장 소재 사업을 지속 발굴해 나갈 방침이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디스플레이 · 반도체 등 전자 소재 분야 기술력을 기반으로 미래 성장영역인 모빌리티 소재 사업을 육성하고 새로운 고객 가치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올여름 폭염·폭우 지속될 것…미리 대비해야"
  • 지하철서 잠든 이준석 사진 확산…출퇴근 목격담도
  • '밀양 사건' 피해자 "함께 분노해주셔서 감사…반짝하고 끝나지 않길"
  • 고유정·이은해·엄인숙·전현주…‘그녀가 죽였다’ 숨겨진 이야기 [해시태그]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뇌전증 전문 교수들, 집단휴진 불참…“환자 위기 빠트리는 행동 삼가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10:5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85,000
    • -1.18%
    • 이더리움
    • 4,933,000
    • -0.92%
    • 비트코인 캐시
    • 613,000
    • -3.54%
    • 리플
    • 677
    • -1.31%
    • 솔라나
    • 209,400
    • -2.56%
    • 에이다
    • 598
    • -2.29%
    • 이오스
    • 957
    • -2.35%
    • 트론
    • 165
    • +0%
    • 스텔라루멘
    • 138
    • -1.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950
    • -2.7%
    • 체인링크
    • 21,670
    • -2.3%
    • 샌드박스
    • 560
    • -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