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마약 투약자 3억 명 육박…10년 새 23% 증가

입력 2023-06-26 14: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1년 기준 2억9600만 명
마약으로 인한 장애는 45% 증가
“합성 마약이 시장 근본적으로 뒤바꿔”

▲2021년 전 세계 마약 투약 현황. 투약자 수 2억9600만 명. 10년 새 23% 증가. 출처 세계 마약 보고서 2023
▲2021년 전 세계 마약 투약 현황. 투약자 수 2억9600만 명. 10년 새 23% 증가. 출처 세계 마약 보고서 2023
전 세계 마약 투약자가 3억 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현지시간) BBC방송에 따르면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는 ‘세계 마약 보고서 2023’을 발간하고 2021년 전 세계 마약 투약자가 2억9600만 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10년 새 23% 증가한 수치로, 같은 기간 마약 투약으로 장애를 입은 인구는 45% 늘어난 3950만 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약물 장애 치료를 받은 인구는 5명 중 1명꼴에 불과했다. 대표적으로 브라질과 콜롬비아, 페루의 삼중 국경 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마약과 가까우면서도 의료 지원은 받기 힘든 탓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전해진다.

가장 많이 이용된 마약은 대마초로, 2억1900만 명이 투약했다. 그 밖에 △오피오드 6000만 명 △암페타민 3600만 명 △코카인 2200만 명 △엑스터시 2000만 명 순이다.

UNODC는 “합성 마약의 저렴하고 쉽고 빠른 생산은 불법 약물 시장을 근본적으로 뒤바꿨다”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불법 제조되는 매스암페타민(필로폰)을 다루는 범죄자들은 새로운 합성 방식 등을 통해 당국의 법 집행과 규제책을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마약 공급이 기록적인 수준으로 계속 늘고 밀매 네트워크는 갈수록 민첩해지고 있어 의료 서비스 제공과 법 집행을 더 복잡하게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아마존의 마약 경제는 불법 벌목과 불법 채광, 야생동물 밀매 등 추가 범죄 활동으로 이어져 환경을 훼손하고 있다”며 “환경단체는 종종 인신매매 단체와 무장단체의 표적이 되고 있다”고 짚었다.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의 확산도 경계했다. UNODC는 “펜타닐의 경우 북미 지역의 오피오이드 시장을 크게 변화시켰고 그 결과는 끔찍했다”며 “2021년 북미에서 발생한 9만 건의 오피오이드 과다 복용 사망 사례 대부분은 불법 제조된 펜타닐과 관련된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시, 북한 ‘오물 풍선’ 신고 36건 접수…24시간 대응체계 가동
  • '놀면 뭐하니?-우리들의 축제' 티켓예매 7일 오후 4시부터…예매 방법은?
  • '선친자' 마음 훔친 변우석 "나랑 같이 사진찍자"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껑충 뛴 금값에…‘카드형 골드바’, MZ세대 신재테크로 급부상
  • 밥상물가 해결한다...트레이더스 ‘푸드 페스티벌’ 개막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27,000
    • +0.3%
    • 이더리움
    • 5,361,000
    • +1.8%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1.96%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3,400
    • +0.17%
    • 에이다
    • 634
    • +1.6%
    • 이오스
    • 1,139
    • +0.44%
    • 트론
    • 158
    • +0.64%
    • 스텔라루멘
    • 150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50
    • -0.18%
    • 체인링크
    • 25,840
    • +0.74%
    • 샌드박스
    • 624
    • +3.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