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A의 동물실험 폐지 발표에 비임상 전문 CRO 대변화 예고코아스템켐온, HLB바이오스텝 등 대체시험법 마련 대응 나서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동물실험의 단계적 폐지 방안을 발표하며 국내 비임상 임상시험수탁(CRO) 업계가 분주해졌다. 앞으로 제도가 바뀌면 대체시험법 개발, 기술 전환을 위한 설비‧인력 투자 등의 변화가 예상돼서다.
22일 본지
셀트리온과 셀트리온제약은 4월 25일~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다중항체 신약 CT-P72의 전임상 결과를 최초로 발표할 예정이며, 셀트리온제약은 항체약물접합체(ADC) 이중 페이로드(dual-payload) 개발 성과를 처음 공개한다.
셀트리온은 27일 미국 바이오기업
에이비온은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간세포성장인수용체(MET) 억제제 ‘바바메킵(Vabametkib, ABN401)’과 3세대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저해제(EGFR TKI) ‘레이저티닙’ 병용 투여 시의 약물 상호작용(DDI) 결과 등 추가 데이터를 발표한다고 22일 밝혔다. 학회는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열린다.
디지털 치료제의 등장으로 전통 제약사와 협업 증가약물과 디지털 치료제 병용, 디지털융합의약품 개발개인 맞춤형 치료 가능…“치료 효과 극대화 기대”
기존 약물과 디지털 치료제를 결합한 ‘디지털융합의약품’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업계는 디지털 치료제로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 약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꾸준한 관리
장외주식 거래플랫폼 38커뮤니케이션에 따르면 21일 비상장 주식 시장은 호가 변화가 없었다.
우주 항공∙핵융합 첨단과학 전문업체 비츠로넥스텍이 18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했다. 상장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며, 총 820만 주를 공모할 예정이다. 글로벌 미래차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아우토크립트도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새
장애인과 고령층 등 의료취약계층에게 실질적인 의료서비스 대안이 되는 ‘비대면진료’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2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최보윤 국민의힘 의원 주최로 열린 ‘비대면진료 시대, 의료는 더 가깝게! 국민은 더 건강하게!’ 주제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이러한 의견을 내놨다.
토론회를 주최한 최보윤 의원은 “오늘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창립 14주년인 올해도 생산능력·포트폴리오·글로벌 거점을 중심의 3대축 확장 전략에 속도를 내며 글로벌 톱티어 바이오기업으로의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삼성그룹이 '5대 신수종 사업' 중 하나로 선정한 바이오 사업 추진을 위해 2011년 4월 21일 인천 송도에 설립되면서 출범했다. 글로벌 바이오의약
동화약품과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제9회 윤도준 의학상’ 수상자로 함병주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를 선정했다.
20일 동화약품에 따르면 함 교수는 우울증 환자 치료와 회복에 더욱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해 왔고, 우울증의 생물학적 기반과 치료 관련 연구를 지속하며 탁월한 성과를 보여준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함 교수는 고대안암병원 정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건강의 소중함을 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만큼 소중한 것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투데이 건강~쏙(e건강~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알찬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진행성 전신경화증은 피부와 장기가 딱딱해지는 경화증의 일종으로 증상이 부분에서 전신으로 퍼지는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개발 중인 GLP-1기반의 펩타이드 비만 치료제가 전임상 시험에 진입하면서 개발이 본 궤도에 올랐다고 18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GLP-1을 기반으로 설계한 신규 펩타이드 라이브러리에서 근육량 감소를 억제하면서도 체중 조절에 보다 효과를 갖는 ‘히트 물질’을 성공적으로 도출했다. 히트 물질이란 전임상 시험 진입에 적합한 유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먹는 비만약의 임상 3상에서 효능을 확인하면서 하루 한 알의 약으로 비만을 치료하는 시대가 개화할 전망이다.
일라이 릴리는 17일(현지시간) ‘오르포글리프론(Orforglipron)’ 임상 3상에서 체중 감량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앞서 화이자(Pfizer)와 암젠(Amgen) 등은 부작용과 효능 미비
신한투자증권은 18일 알테오젠에 대해 지속적인 신규 계약 목표와 다수의 임상 개시, 인간 히알루로니다제(ALT-B4) 사업 확대 등을 이유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73만 원을 유지했다. 현재 주가 37만6000원의 2배가량이다.
엄민용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매년 2건 이상의 ALT-B4 신규 계약 체결이 목표이며 현재 물질이전계약(MTA)
만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는 돌발 상황 시 비고령 운전자보다 반응속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고령 운전자 300명을 대상으로 교통안전 인식을 조사하고, 고령·비고령운전자 34명(각 17명)에 대해 시내 도로 주행 시뮬레이션 시험을 한 결과 시야 제한 상황에서 어린이가 돌발횡단했을 때 고령자의 브레이크 반응속도는 2.28초로 비고령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우울증 개선에 효능이 있는 마이크로바이옴 균주를 발굴해 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한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회사는 최근 인체 유래물질에서 채취한 마이크로바이옴 균주 ‘DX3004’를 발굴했다. 국내 건강한 영유아의 분변에서 찾은 마이크로바이옴 균주로 우울증이 약 50% 이상 개선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쎌바이오텍이 듀오락 주요 제품에 사용되는 특허 유산균 ‘CBT-LR5(KCTC 12202BP)’를 활용한 임상시험을 통해 고령층 경도인지장애(MCI) 개선 가능성을 입증하며 장 건강이 뇌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장-뇌 축(Gut-Brain Axis)’ 이론에 새로운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국내 65세 이상 치매 환자 수는 202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회사의 항체디스커버리 플랫폼을 통해 확보한 pH-감응 항체(pH-dependent antibody) 기반의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연구성과를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17일 밝혔다.
회사는 지난해 11월 월드AD
차바이오텍 계열사 CMG제약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조현병 치료제 ‘메조피’(Mezofy·성분명 아리피프라졸)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6일 밝혔다.
메조피는 CMG제약이 개발한 구강 필름(Oral Film)형 조현병 치료제다. 메조피는 국내 제약사가 FDA로부터 개량신약 허가를 받은 네 번째 제품이며, 제형변경 품목허가를 취득한 것은 메조피
위고비와 마운자로의 성공에 힘입어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계열 비만치료제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들 ‘주사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빅파마들이 먹는 비만치료제 개발에 도전했지만 간 독성 부작용 등의 이유로 임상이 중단되고 있다.
16일 제약·바이오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14일(현지시간) 미국 제약사 화이자(Pfizer)는 먹는 비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