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첨단전략산업]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유치, 지자체 뜨거운 열기

입력 2023-05-26 15: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반도체 15곳 중 경기도 8곳 후끈…7월 발표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 접수 결과.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 접수 결과. (자료=산업통상자원부)

15곳의 지자체가 7월 발표 예정인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관련 반도체란 칼을 들고 나왔다. 특히 경기도에 있는 지자체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을 고려해 8곳이 반도체로 출사표를 던졌다.

26일 정부가 발표한 제1차 국가첨단전략산업 육성 기본계획(2023~2027년) 따르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신청 관련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3개 분야에서 21개 후보 지역이 접수됐다.

그 중 반도체가 15건으로 가장 많았다. 경기 8곳, 인천, 충북 청주, 대전(디스플레이 구동칩), 전남 광주(패키징), 경남 창원(패키징), 경북 구미(소재·부품), 부산(소부장) 등이 반도체로 특화단지 신청을 냈다.

특히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들어설 경기 지역이 반도체 열기는 뜨거웠다. 용인(메모리·파운드리), 용인(신규 국가산단·파운드리), 고양(시스템반도체), 화성(파운드리·메모리), 남양주(팹리스), 이천(메모리), 안성(반도체 소부장), 평택(파운드리·메모리) 등이 도전장을 냈다.

이차전지는 5곳에서 신청서를 냈다. △소재로 경북 상주와 포항, 전북이 △셀·소재로 울산과 충북 오창이 각각 신청했다.

디스플레이는 충남 천안·아산 한 곳이 냈다.

산업부는 첨단전략산업 경쟁력 선점을 위한 글로벌 속도 경쟁을 고려해단지별로 기술 초격차 실현 및 경제안보 확보 가능성을 검토해 특화단지를 지정할 계획이다.

특화단지 전문위에서 △특화단지의 필요성·시급성 △선도기업의 투자 계획 △기반시설 확보 가능성 △전문인력 확보 용이성 △집적화 효과 △지역 주력산업과 연계발전 가능성 등을 종합 평가한다.

특화단지 지정 시, 단지별 역할(생산거점형, R&D혁신형 등) 부여하고 지역 특성 및 시너지를 고려한 지역 연계안(종합클러스터)도 추진할 방침이다.

결과는 7월 특화단지 지정안을 심의·의결을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월렛, 新 상품권 출원⋯뉴 디지털 금융 플랫폼 대전환 예고
  • 대기업 몰리자 ‘20억’ 신고가⋯훈풍 부는 마곡 집값
  • 한은, 기준금리 0.25%p 인하⋯연 2.50% 결정
  • '나는솔로' 26기 영호, 여성 3인의 선택⋯현숙까지 몰렸다 "가장 잘생겨"
  • “동남아 여행 괜찮을까요?” 니파 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 경고 [해시태그]
  • 대선 사전투표 인증샷 주의할 점…최근 투표 인증샷 트렌드는?
  • 이동건과 강남 데이트 목격담…강해림은 누구?
  • ‘골때녀’ 월드클라쓰, 스밍파에 4-0 대승…원더우먼에 대패한 자존심 다시 세웠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10:3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677,000
    • -0.21%
    • 이더리움
    • 3,780,000
    • +3.19%
    • 비트코인 캐시
    • 591,000
    • +2.69%
    • 리플
    • 3,193
    • -0.56%
    • 솔라나
    • 241,300
    • -1.27%
    • 에이다
    • 1,052
    • -0.09%
    • 이오스
    • 1,048
    • -1.04%
    • 트론
    • 383
    • -0.78%
    • 스텔라루멘
    • 399
    • +0.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750
    • -1.17%
    • 체인링크
    • 22,180
    • +0.68%
    • 샌드박스
    • 431
    • +0.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