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코로나19 확진자 4000명대 떨어졌지만…위중증 여전히 1000명대, 사망자 55명 나와

입력 2021-12-27 10: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발생 4125명·해외유입 82명 등 4207명 신규 확진

▲전국 코로나19 지역별 현황. (그래픽=이투데이)
▲전국 코로나19 지역별 현황. (그래픽=이투데이)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증가는 주춤하는 가운데 위중증 환자는 1000명 이상을 유지했고, 사망자도 55명이 늘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7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전날보다 4207명 증가한 61만167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중 국내발생은 4125명, 해외유입은 82명이다.

국내발생 확진자는 서울 1466명, 인천 227명, 경기 1160명 등 수도권에서 2853명이 나왔다.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 267명, 대구 127명, 울산 40명, 경북 70명, 경남 197명 등 영남권 확진자가 701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전 38명, 세종 10명, 충북 63명, 충남 148명 등 충청권이 259명으로 뒤를 이었다. 광주 59명, 전북 88명, 전남 30명 등 호남권에서는 177명의 확진자가 발생했고, 강원과 제주는 각각 119명, 16명의 확진자가 확인됐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검역단계에서 14명, 지역사회 격리 중 68명이 확인됐다. 내국인은 67명, 외국인은 15명이다. 유입 추정국별로 중국 2명, 중국 외 아시아 5명, 유럽 24명, 미주 46명, 아프리카 3명, 오세아니아 2명이다.

이날 위중증 환자 수는 1078명으로 전날보다 3명 줄었고, 사망자는 55명이 나와 누적 사망자는 5300명을 기록했다.

국내 오미크론 감염 환자는 해외유입 20명, 국내감염 49명이 추가로 확인되면서 총 445명으로 늘었다.

한편, 코로나19 예방접종 인원은 1차 접종자가 3247명, 접종 완료자는 1574명, 추가접종자는 2만3782명 추가됐다. 1차 이상 누적 접종자는 4398만2890명, 인구 대비 접종률은 85.7%다. 접종 완료율은 82.4%, 성인(18세 이상) 대비 92.9%로 집계됐다. 3차 접종자는 누적 1522만2268명으로 인구 대비 29.6%의 접종률을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진경·김승규 결혼식…손흥민·김민재·황희찬 등 국가대표 총출동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단독 용역업체가 수익금 관리?…한국콘텐츠진흥원 '부외현금' 관행 적발
  • 게임 맛집 슈퍼셀의 야심작 '스쿼드 버스터즈'…"간단한데 맛있다"[mG픽]
  • 의료 파업, 국민 77.3%가 반대…"원인은 의사 기득권 지키기" [데이터클립]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단독 “호봉제 폐지”…현대차, 연구·일반직 임금체계 개편 재추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583,000
    • -1.97%
    • 이더리움
    • 4,882,000
    • -1.07%
    • 비트코인 캐시
    • 544,000
    • -7.95%
    • 리플
    • 687
    • -3.65%
    • 솔라나
    • 193,800
    • -2.86%
    • 에이다
    • 535
    • -6.14%
    • 이오스
    • 775
    • -10.82%
    • 트론
    • 163
    • -1.21%
    • 스텔라루멘
    • 128
    • -6.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350
    • -10.53%
    • 체인링크
    • 19,420
    • -5.5%
    • 샌드박스
    • 435
    • -9.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