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덕철 “단계적 일상회복 준비…백신 피해 보상도 논의할 것”

입력 2021-10-10 16: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3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이 3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단계적인 일상회복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10일 밝혔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정부는 백신 접종률과 코로나19 확산세, 중증화율과 치명률 추이 등 현재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단계적 일상회복'을 준비하고 있다”며 “조만간 개최되는 코로나19 일상회복 지원위원회를 민관합동으로 구성해 국민 말씀을 귀담아듣겠다”고 밝혔다.

권 장관은 “성급한 일상회복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비롯한 국민의 희생과 노력을 한순간에 헛되이 할 수 있기에, 더욱 신중할 필요성이 있다”며 “일상회복은 단계적으로, 질서 있게, 그리고 정부와 모든 국민이 함께 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권 장관은 이날 해외 각국의 일상회복 사례를 소개했다.

권 장관은 "주말 이동금지 같은 강력한 봉쇄 조치를 시행하기도 했던 포르투갈은 접종 완료율이 80%를 훌쩍 넘어 세계 최고 수준을 보이고, 높은 접종률의 바탕 위에서 확진자 수가 안정화됨에 따라 영업시간 제한을 완화하는 등 제한조치를 단계적으로 완화하고 일상 회복으로의 연착륙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성급한 일상회복으로 몸살을 앓는 다른 나라의 사례를 제시, 주의를 당부하기도 했다. 권 장관은 “어느 주(州) 정부에서는 지난 7월, 낮은 백신 접종률에도 불구하고 제한조치 해제를 강행한 결과 9월에 해당 국가 확진자의 절반이 그 주에서 발생했고 치명률 또한 4%로 해당 국가 전체 평균의 세 배 이상에 달한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국내 코로나19 상황에 대한 진단을 내놓기도 했다. 권 장관은 국내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지난 1주일간 신규 확진자 수는 하루평균 1987명으로 확산세가 여전한 상황이지만 백신 접종으로 인해 중증화율과 치명률은 지속 감소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올해 1월 중증화율은 3.2%, 치명률은 1.4%였으나 4차 유행이 시작됐음에도 백신 접종 효과로 7월 이후 중증화율은 2%, 치명률은 0.3% 수준으로 낮아졌다.

권 장관은 "특히 백신 접종 완료자의 경우 중증화율과 치명률은 더 크게 낮아진다"며 "지난 5월부터 8월까지의 확진자 12만5000명을 분석한 결과 미접종군의 중증화율은 2.73%였으나 접종 완료군은 0.66%이었고 치명률은 각각 0.42%, 0.17%로 극명한 대비를 보였다"고 부연했다.

백신 접종의 불안감 달래기에도 나섰다. 권 장관은 “지난주 국회 국정감사에서 백신 접종으로 인한 피해 상황을 국민들로부터 생생하게 들었다”며 “조만간 코로나19 일상회복지원위원회에서 보상지원에 대한 개선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해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는 '가을철 관광지 방역관리 방안'과 '외국인 대상 접종 확대방안' 등을 다루기도 했다. 권 장관은 "전체 확진자 중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9월 말부터 20%를 넘어섰다"며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방자치단체와 외국인 근로자를 많이 고용하는 사업장에서는 이들에 대한 백신 접종 및 방역관리에 보다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가을철 여행 방역 관리대책이 어제부터 11월 4일까지 5주간 시행된다"며 "국민께서는 여행보다는 집 근처에서 가족과 함께 안전한 시간을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140,000
    • +0.96%
    • 이더리움
    • 5,251,000
    • -1.15%
    • 비트코인 캐시
    • 650,500
    • +0.93%
    • 리플
    • 726
    • +0.69%
    • 솔라나
    • 230,200
    • +0.66%
    • 에이다
    • 641
    • +2.56%
    • 이오스
    • 1,120
    • -0.09%
    • 트론
    • 159
    • -1.85%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100
    • +1.29%
    • 체인링크
    • 24,540
    • -3.73%
    • 샌드박스
    • 630
    • +2.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