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부터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의무…정부 '다각적 지원'

입력 2020-12-23 15: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품질 재생페트 사용량, 2022년까지 4배 확대 추진

▲페트병 재활용체계 및 제품 생산과정·사례. (자료제공=환경부)
▲페트병 재활용체계 및 제품 생산과정·사례. (자료제공=환경부)

25일부터 전국 아파트에서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 배출이 의무화된다. 환경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의 분리 배출 방안을 시행하면서 제도가 원활하게 자리 잡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한다고 23일 밝혔다.

먼저 환경부는 전국 아파트와 관련 업체에 투명페트병을 따로 담을 수 있는 마대 5만여 장을 현장에 배포했다. 이달 중 1만 장, 내년 초에는 3만 장을 추가로 제공할 예정이다.

내년 1월까지 분리배출 현장에 마대가 잘 설치돼 있는지를 점검한다. 환경부는 제도 정착 기간을 내년 6월까지로 잡고 매월 지자체별 배출 상황을 점검하면서 보완점이 있는지 살필 예정이다.

투명페트병이 고품질의 재생 페트로 생산될 수 있도록 재활용 체계 전반을 개선하는 작업도 추진된다.

아파트에서 배출된 투명페트병은 수거업체, 선별업체 및 재활용업체를 거쳐 재활용되는데, 선별·재활용업체가 투명페트병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개선하는 사업도 환경부가 지원한다.

투명페트병의 재활용을 활성화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투명페트병을 생산하거나 페트병 원료를 생산하는 업계와 협력해 재생원료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재생원료를 해외에 직수출할 수 있는 판로 개척에도 나서기로 했다.

재생원료를 사용하는 기업에는 생산자책임 재활용 분담금을 감경해 주고, 재생원료 사용 업종 및 제품 종류 등을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세워놓고 있다. 투명페트병의 재활용 용도 또한 의류와 가방, 신발에 이르기까지 다각화하기로 했다.

이 같은 정책을 통해 환경부는 고품질 재생 페트병 재활용량을 지난해 연간 2만8000톤(전체 재활용량 24만 톤)에서 2022년 10만 톤 이상으로 확대해 수입 재생 페트병을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재생원료 사용 여부를 제품에 표시할 수 있는 인증제도도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홍동곤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전국 공동주택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의 원활한 정착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재생원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재활용 산업을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법정상속분 ‘유류분’ 47년만에 손질 불가피…헌재, 입법 개선 명령
  • 2024 호텔 망고빙수 가격 총 정리 [그래픽 스토리]
  • "뉴진스 멤버들 전화해 20분간 울었다"…민희진 기자회견, 억울함 호소
  • "아일릿, 뉴진스 '이미지' 베꼈다?"…민희진 이례적 주장, 업계 판단 어떨까 [이슈크래커]
  • “안갯속 경기 전망에도 투자의 정도(正道)는 있다”…이투데이 ‘2024 프리미엄 투자 세미나’
  • "한 달 구독료=커피 한 잔 가격이라더니"…구독플레이션에 고객만 '봉' 되나 [이슈크래커]
  • 단독 교육부,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은 ‘2000명’ 쐐기…대학에 공문
  • "8000원에 입장했더니 1500만 원 혜택"…프로야구 기념구 이모저모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604,000
    • -0.79%
    • 이더리움
    • 4,531,000
    • -0.59%
    • 비트코인 캐시
    • 687,500
    • -1.29%
    • 리플
    • 754
    • -1.57%
    • 솔라나
    • 208,100
    • -3.12%
    • 에이다
    • 676
    • -2.17%
    • 이오스
    • 1,210
    • +1.09%
    • 트론
    • 169
    • +3.05%
    • 스텔라루멘
    • 164
    • -1.8%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750
    • -3.28%
    • 체인링크
    • 20,980
    • -0.66%
    • 샌드박스
    • 666
    • -1.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