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항공업계 최소 5조원 매출 타격 예상

입력 2020-03-08 11: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월 넷째주 국제선 여객수 66% 감소…한일 하늘길도 70년 만에 끊길 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29일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의 한 중국 항공사 체크인 카운터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29일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의 한 중국 항공사 체크인 카운터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항공업계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일본을 포함한 대부분의 하늘길이 끊겼고, 남은 노선의 여객 수요도 급감하고 있다. 오는 6월까지 최소 5조 원의 매출 피해가 예상된다.

8일 한국항공협회에 따르면 2월 넷째 주 국제선 여객 수는 65만2626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8% 감소했다.

중국 노선 여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85.2% 줄었고 일본과 동남아는 각각 70.6%, 62.1% 감소했다. 미주와 유럽도 전년 동기 대비 11.8%, 29.8%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국적 항공사의 2월 넷째 주 국제선 운송실적을 기준으로 피해 규모를 산출한 결과 올해 6월까지 최소 5조875억 원의 매출 피해가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국제선 월별 여객 수는 504만967명으로, 항공협회는 애초 올해 국제선 월평균 여객 수를 전년 대비 6.3% 증가한 535만8548명으로 전망했으나 코로나19 사태 이후 올해 상반기 여객 전망을 전년 대비 65.8% 낮춘 172만4011명으로 낮춰 잡았다.

상반기 여객 전망 감소치를 국제선 평균 운임(27만9955원)으로 계산한 결과만 5조 원이 넘는 셈이다.

다만 이는 2월 넷째 주를 기준으로 산출한 것이어서 이후 일본의 입국 제한 조치로 당분간 한일 하늘길마저 사실상 끊기게 된 점을 감안하면 피해액은 이보다 훨씬 더 커질 수 있다.

사실상 국제선 운항을 접은 저비용항공사(LCC)의 경우 수익은 '제로'에 가깝지만 항공기 리스료와 사무실 임차료, 공항시설이용료 등 고정비용이 인건비를 제외하고도 한 달에 평균 100억∼200억 원 든다. 이 비용은 그대로 적자로 쌓이고 있다.

대한항공의 경우 승객의 항공권 환불 요청이 평상시 대비 30배 증가해 2월 넷째 주의 경우 항공권 환불금액이 발매액을 초과하기도 했다.

대한항공의 2월 전체 국제선 탑승객 수는 61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6% 줄었다. 탑승률은 60.2%로, 전년 동기(86.1%) 대비 26.1%포인트 낮아졌다.

운항 감축도 잇따르면서 2월 넷째 주의 경우 항공기 운항 횟수도 애초 624편에서 409편으로 줄었다. 결항률은 34.5%다.

이 역시 미주와 유럽 노선의 감축은 반영이 되지 않은 것이어서 오는 9일부터 적용되는 일본 노선의 대규모 운항 중단까지 더해지면 여객 규모는 급격히 쪼그라들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나항공은 1990년 서울∼도쿄 노선에 취항한 이후 30년 만에 아예 모든 일본 노선의 운항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티웨이항공과 진에어, 이스타항공, 에어부산 등 LCC도 그나마 유지해 오던 일본 노선을 오는 9일부터 당분간 아예 셧다운 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밀양 성폭행 가해자들 현재 상황…"난 숨겨달라"며 적극 제보 중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김호중 후폭풍 일파만파…홍지윤→손호준, 소속사와 줄줄이 계약 해지
  • KFC, 오늘부터 가격 조정…징거세트 100원 인상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09: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500,000
    • +1.74%
    • 이더리움
    • 5,273,000
    • +0.82%
    • 비트코인 캐시
    • 661,500
    • +2.32%
    • 리플
    • 726
    • +0.41%
    • 솔라나
    • 237,600
    • +3.39%
    • 에이다
    • 638
    • +0%
    • 이오스
    • 1,120
    • +0.45%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850
    • +2.06%
    • 체인링크
    • 24,470
    • -0.16%
    • 샌드박스
    • 640
    • +1.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