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사병 국내 유입 가능성 낮아…중국서도 추가 전파 없어"

입력 2019-11-19 17: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질본 "발병해도 치료 가능…항생제 100만 명분 이상 비축"

(자료=질병관리본부)
(자료=질병관리본부)

최근 중국에서 페스트 환자 3명이 발생한 것과 관련해 질병관리본부는 19일 “국내 유입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곽진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센터 신종감염병대응과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페스트 관련 설명회를 열고 “네이멍구지역은 페스트 풍토지역으로 매개체에 의한 추가 환자 발생은 가능하나, 중국 보건당국의 예방·통제조치 강화에 따라 해당 지역 내 전파 위험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이 말했다. 특히 “네이멍구지역에서 우리나라로 오는 직항노선은 없으며, 베이징에서 보고된 폐 페스트 발생 환자로 인한 추가 전파 사례도 없다”고 강조했다.

페스트는 임상적 유형에 따라 림프절 페스트, 폐 페스트, 패혈증 페스트로 나뉜다. 림프절 페스트는 자연발생 페스트 중 가장 흔하며, 주로 감염된 벼룩에 물려 발병한다. 치료가 지연되면 폐 페스트로 진행된다. 이 단계에선 심한 발열과 두통, 피로, 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이후 기침, 호흡곤란, 흉통 및 수양성 혈담을 동반한 중증 폐렴으로 진행돼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패혈증 페스트는 림프절 페스트나 폐 페스트가 적절히 치료되지 않았을 때 나타날 수 있다. 사망률이 높으며, 발단부 피부가 흑색으로 괴사해 일명 ‘흑사병’으로 불린다.

림프절 페스트는 일반적으로 사람 간 전파는 없으나 화농성 분비물에 직접 접촉을 통한 전파는 가능하다. 폐 페스트는 감염성 호흡기 비말을 통해 전파되는데, 객담을 통해 균이 배출되는 기간 동안 감염성이 있다. 항생제를 사용해도 48시간 동안 균이 완전히 사멸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격리가 필요하다. 잠복기는 1~7일, 폐 페스트는 평균 1~4일로 짧다.

1990년대 이후 페스트는 주로 아프리카에서 발생하고 있다. 콩고민주공화국 이투리주에선 2월부터 10월까지 31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이웃 중국에서도 최근 3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단 국내에선 아직까지 페스트 환자 또는 페스트균에 오염된 매개체가 발견된 사례가 없다.

곽 과장은 “페스트가 발병하더라도 일반적으로는 40시간 내에, 폐 페스트는 24시간 내에 항생제를 투여하면 사망률을 줄일 수 있다”며 “증상이 발현하더라도 조기 치료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항생제는 국가 생물테러에 대응해 100만 명분 이상이 비축돼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49,000
    • +0.23%
    • 이더리움
    • 5,330,000
    • +0.95%
    • 비트코인 캐시
    • 647,500
    • +1.33%
    • 리플
    • 726
    • +0%
    • 솔라나
    • 232,600
    • -0.51%
    • 에이다
    • 633
    • +1.28%
    • 이오스
    • 1,136
    • +0.09%
    • 트론
    • 157
    • +0.64%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400
    • -0.58%
    • 체인링크
    • 25,870
    • +1.05%
    • 샌드박스
    • 624
    • +3.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