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계속된 경기침체 우려에 상승 제한...다우 0.17%↑

입력 2019-05-31 08: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뉴욕증시가 30일(현지시간) 상승했으나 무역 갈등 장기화에 따른 경제 침체 우려가 지속되면서 상승폭이 제한됐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3.47포인트(0.17%) 오른 2만5169.88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5.84포인트(0.21%) 상승한 2788.8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0.41포인트(0.27%) 오른 7567.72로 각각 장을 마쳤다.

이날 장 초반 반등하던 미 국채금리가 다시 가파르게 하락하면서 주요 지수가 하락 반전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는 20개월 만에 최저치인 2.227%까지 떨어졌다.

인포마 파이낸셜 인텔리전스의 라이언 나우만 시장 전략가는 “금리 하락은 명확하게 성장 둔화를 가리키고 있다”면서 “5월 들어 나타나고 있는 위험회피 경향의 핵심 동인이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 결과 투자자들이 주식에서 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과 미국의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도 지속했다.

중국이 희토류 대미 수출 제한 가능성을 시사한데 이어 미국산 대두 구매를 중단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중국의 장한후이 외교부 부부장은 미국의 의도적인 무역갈등이 “노골적인 경제테러리즘이며 경제적인 탄압”이라고 거칠게 비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 관세 부과 조치가 중국에 파괴적 영향을 주고 있다면서 중국이 협상을 원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미국은 협상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발표된 미국의 성장률은 시장 예상보다 양호했다. 미 상무부는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잠정치가 시장 예상 3.0%보다 높은 3.1%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물가 지표는 속보치보다 더 약화했다.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속보치 1.3% 증가에서 그 폭이 1.0%로 하향 조정됐다.

종목별로는 금리 하락 영향으로 뱅크오브아메리카와 JP모건체이스 주가가 각각 2.1%와 1.1%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유가 급락 여파로 에너지주가 1.18% 내렸다. 금융주도 0.45% 떨어졌다. 반면 기술주는 0.6% 올랐고, 산업주도 0.39% 상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123,000
    • +0.14%
    • 이더리움
    • 5,177,000
    • -1.9%
    • 비트코인 캐시
    • 646,000
    • +0.23%
    • 리플
    • 721
    • -0.83%
    • 솔라나
    • 229,800
    • -2.34%
    • 에이다
    • 621
    • -2.05%
    • 이오스
    • 1,101
    • -1.87%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50
    • -1.51%
    • 체인링크
    • 25,510
    • +1.23%
    • 샌드박스
    • 600
    • -4.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