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토프리ㆍ글루텐프리 제품, 한국산업표준 만들어진다

입력 2018-10-25 08: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락토프리는 유당 함량 0.5% 이하ㆍ글루텐프리는 20㎎/㎏으로 규격 추진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
락토프리(유당을 적정 수준으로 낮춘 식품)ㆍ글루텐프리(곡물 내 불용성 단백질인 글루텐 함량을 낮춘 식품)에 대한 한국산업표준(KS)이 만들어진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락토프리 및 글루텐프리 한국산업표준안'을 25일 예고 고시했다. 이날 공개된 표준안은 락토프리는 '유당을 0.5% 이하로 제거한 가공식품'으로, 글루텐프리는 '글루텐을 20mg/kg(20ppm) 이하로 제거한 가공식품'으로 규정했다.

최근 유가공품이나 밀가루 가공식품 소비가 늘면서 락토프리, 글루텐프리 시장도 함께 커졌다. 우유 유당이나 밀가루의 글루텐을 소화하지 못하거나 이들 성분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농식품부는 락토프리 시장은 지난해 기준 70억 달러 규모, 글루텐프리 시장은 2015년 33억 달러 규모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반면 국내에는 락토프리나 글루텐프리 시장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부족했다. 식품위생법에 규격과 표시기준 등이 정의돼 있지만 소비자 이해를 돕고 업계의 활용을 촉진하기에는 정의가 모호하고 분석 방법 등도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농식품부는 국내외 사례와 업계의 기술 수준을 고려해 표준안에 글루텐프리, 락토프리의 명확한 정의와 기준, 분석법 등을 담을 계획이다.

표준안은 이르면 연말 제정ㆍ공포될 전망이다. 농식품부는 표준안을 확정하기 이전에 예고 고시와 토론회와 KS 제정 전문위원회, 심의회를 통해 각계 의견을 수렴한다. 첫 정책토론회는 30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다. 농식품부는 향후 글루텐프리, 락토프리의 민간인증제도 도입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김덕호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관련 표준지침을 조속히 제정하여 업계와 소비자가 모두 안심하고 생산·소비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의 활성화에도 노력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오물 풍선’ 전국서 600개 발견…정부 “대북확성기 재개 논의”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달아오른 우주개발 경쟁, 희비 엇갈린 G2…중국, ‘세계 최초’ 달 뒷면 토양 채취 눈앞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72,000
    • +0.31%
    • 이더리움
    • 5,319,000
    • +0.68%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1.09%
    • 리플
    • 723
    • -0.55%
    • 솔라나
    • 231,500
    • -0.77%
    • 에이다
    • 633
    • +0.96%
    • 이오스
    • 1,137
    • +0.89%
    • 트론
    • 158
    • +1.28%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50
    • -1.1%
    • 체인링크
    • 25,810
    • -0.42%
    • 샌드박스
    • 626
    • +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