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래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대전·세종·충남권역 통합해야”

입력 2017-11-30 17: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안희정 지사, 이춘희 시장 등에 서한… 대전·충남 학생들, 의무채용 사각지대”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은 30일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우선채용에 있어 대전·세종·충남을 하나의 권역으로 묶는 방안을 안희정 충남도지사와 이춘희 세종시장, 이재관 대전시장 권한대행에 제안했다.

대전 유성구갑을 지역구로 둔 조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문재인 정부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핵심 국정과제로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이전지역 지역인재 채용을 의무화해 2022년까지 30% 기준 적용을 목표로 추진 중”이라며 “하지만 대전엔 이전 기관이 전무하고 충남에는 2개 기관에 불과해 대전·충남 지역 학생들은 사실상 이전 기관 지역인재 의무채용에 있어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전엔 전문대를 포함해 15개 대학에 14만5000여 명이, 충남에는 전문대 포함 21개 대학에 20만300여 명의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지만 타 시·도의 학생들만큼 공공기관 취업 기회를 보장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세종의 경우 2개 대학과 1개의 전문대학이 있지만 이전 기관은 19개에 달해 지역인재 우선채용 대상 지역을 대전·세종·충남으로 권역화해 보다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전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지난해 이전 기관의 이전지역인재 채용 비율을 보면 전국 평균 13.3%에 불과하고 세종은 12.6%, 충남은 17.3%에 그쳤다”며 “채용 대상 지역을 권역화하면 공공기관 입장에서도 더 많은 우수 지역인재를 뽑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채용 목표도 수월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대구·경북은 지난해 지역합의를 거쳐 채용 대상 지역을 권역화해 혁신도시특별법 시행령이 개정된 사례가 있는만큼 대전·세종·충남도 대승적 차원에서 통합 논의가 이뤄지길 희망한다”며 “안 지사와 이 시장, 이재관 시장 권한대행에 서한을 통해 3개 시·도가 적극적으로 협의에 나서줄 것을 요청드렸다”고 설명했다.

한편 조 의원 측에 따르면, 지역인재를 의무적으로 채용하도록 한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개정됨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지난 11월 8일 동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 입법예고했으며 13개 시·도의 109개 이전 공공기관이 해당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고우석, 방출대기 명단 올랐다…메이저리그 입성 물 건너가나
  • 정용진 부부 데이트 현장 포착한 '밥이나 한잔해'…식당은 어디?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단독 줄줄이 터지는 금융사고에... 6월 금융판 암행어사 뜬다
  • 무용가 이선태, 마약 투약 및 유통…'댄싱9' 다시보기 중단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11: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12,000
    • +0.91%
    • 이더리움
    • 5,226,000
    • -0.34%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31%
    • 리플
    • 723
    • -1.09%
    • 솔라나
    • 231,600
    • -1.7%
    • 에이다
    • 624
    • -0.79%
    • 이오스
    • 1,127
    • -0.35%
    • 트론
    • 156
    • +0%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850
    • +0.23%
    • 체인링크
    • 25,020
    • -4.87%
    • 샌드박스
    • 606
    • -3.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