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여신 1300억 돌파에도 웃지 못하는 사연

입력 2017-04-19 10: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케이뱅크가 돌풍을 이어가고 있지만, 정작 자본 건전성은 나빠지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빠졌다. 대출 실적이 치솟을수록 자기자본비율(BIS)이 악화되고 있는 탓이다.

19일 케이뱅크는 영업개시 2주가 지난 전날 기준 수신 2300억 원, 여신 1300억 원을 돌파해 총고객 수 20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특히 저렴한 대출금리가 흥행의 비결이다. 케이뱅크가 내놓은 ‘직장인 K신용대출’은 최저 연 2.70%의 금리로 최대 1억 원의 대출을 받을 수 있고, 요건에 따라 0.60%의 우대 금리도 적용받을 수 있어 많은 이들에게 관심받고 있다.

문제는 대출상품이 인기를 끌수록 동시에 케이뱅크의 자기자본비율도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케이뱅크는 일반은행과 같은 사업을 벌이고 있어 시중은행 수준의 건전성 규제를 받는다. 다만, 인터넷전문은행은 초기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엄격한 바젤III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대신 바젤I을 적용받아 2019년까지 BIS비율을 8%로 맞춰야 한다.

케이뱅크는 초기 자본금 2500억 원 중 상당 부분을 시스템 구축과 서비스 개발에 사용하면서 절반도 남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오픈 2주 만에 대출로만 1300억 원이 빠져나갔다.

케이뱅크 측은 예금 2300억 원이 더해지며 대출 재원 확보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자본 건전성 측면에서는 다르다. BIS비율은 대출금 등 위험자산을 자본금으로 나눈 수치로, 여신이 늘어나면 이 비율이 떨어지면서 타격을 입게 된다.

특히 올해 케이뱅크의 대출 목표는 총 4000억 원이지만, 이 추세라면 연말까지 여신이 초과 달성될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하반기부터 시중은행보다 저렴한 금리의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선보일 계획을 내놔 이 속도는 더욱 빨라질 수밖에 없다.

현재 케이뱅크는 자사의 자기자본비율을 공개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연말까지 케이뱅크의 BIS비율이 10% 미만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결국, 대출 영업에 공격적으로 나서기 위해서는 자본확충이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2~3년 내에 최소 2000~3000억 원의 증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케이뱅크를 실질적으로 이끄는 KT는 현행법상 전체지분의 4%까지만 의결권의 행사할 수밖에 없어 증자에 나서기 어렵다.

현재 국회에는 산업자본이 인터넷은행 지분을 34~50%까지 보유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5개의 관련 법안이 계류돼 있지만, 진전이 없는 상태다. 지난 3월 상임위에서는 논의조차 되지 못한 데다, 대선 일정이 앞당겨지면서 실질적인 논의 시기가 더욱 밀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은산분리 완화가 늦어질수록 케이뱅크의 증자는 사실상 불가능해지고, 자본 건전성을 맞추기 위해서는 대출 업무를 줄여나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이 경우 당초 저금리 대출이라는 인터넷전문은행의 탄생 명분마저 사라질 수밖에 없는 딜레마에 처하게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HBM이 낳은 참극...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조화 깨졌다 [디커플링 두 회사 ②]
  • 하는 곳만 하는 시대 지났다…너도나도 슈퍼리치 리테일 사활[증권사 WM 대전]①
  • 텔레그램 기반 낫코인, 비트코인 혼조 속 일주일간 345% 뛰며 시총 50위권 안착 [Bit코인]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제네바 모터쇼…폐지되는 5가지 이유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김호중 천재적 재능이 아깝다"…KBS에 청원 올린 팬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13:2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400,000
    • +0.66%
    • 이더리움
    • 5,304,000
    • -0.32%
    • 비트코인 캐시
    • 643,500
    • -0.62%
    • 리플
    • 720
    • -0.83%
    • 솔라나
    • 227,800
    • -1.89%
    • 에이다
    • 626
    • -0.79%
    • 이오스
    • 1,130
    • -0.7%
    • 트론
    • 158
    • +0%
    • 스텔라루멘
    • 148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650
    • -0.76%
    • 체인링크
    • 25,120
    • -2.41%
    • 샌드박스
    • 631
    • +0.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