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LG, 유럽 3대 MBA에 ‘정치 리스크’ 극복 방안 배웠다

입력 2016-12-12 17:43 수정 2016-12-13 14: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LG그룹이 유럽 3대 경영대학원 중 하나인 스페인 ‘이에세(IESE)’로부터 정치 리스크 극복 방안을 배웠다.

LG그룹에 따르면, 12일 IESE 경영대학원 패디 밀러<사진> 교수가 서울 여의도 트윈타워를 방문, LG경제연구원 관계자를 대상으로 강연했다.

이날 밀러 교수는 다양한 해외 사례를 들어 조직 관리와 기업 및 인사 혁신에 대한 심도 있는 강연을 진행했다. 밀러 교수는 2002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이 얘기한 ‘타당함의 착시(illusion of validity)’를 언급하며 “지금까지 기업들이 해 오던 채용의 관습을 혁신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했다.

타당함의 착시란 일관적인 결과가 나오면 정확하고 더 나아가 타당해 믿을 만하다는 오류를 의미한다. 같은 대답을 한다고 꼭 믿을 만한 건 아니라는 얘기다. 밀러 교수는 “이스라엘 군대의 경우도, 승진이나 진급을 시킬 때 새로운 시도를 많이 했다”면서 “결국 일반적으로 잘 안 하는 방식 속에 혁신이 숨어 있다”고 조언했다.

밀러 교수는 영국 런던비즈니스스쿨(LBS), 프랑스 인시아드(INSEAD)와 함께 유럽 3대 경영대학원으로 꼽히는 스페인 IESE 경영대학원에서 조직 관리와 기업혁신 강의를 맡고 있다. 그는 이탈리아 명품업체 불가리, 독일 항공사 루프트한자와 가정용품 전문기업 헹켈, 영국 보험사 스탠더드생명 등 유럽 업체들을 대상으로 기업 혁신을 강연하며, 영감을 준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재계는 최근 최순실 게이트에 따른 식물 정부와 탄핵 정국 등 국내 정치 사정과 스페인 현지 사정이 비슷하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스페인은 지난해 말부터 두 차례 총선을 치르고도 정부가 구성되지 못해 약 10개월간 ‘무정부’ 상태에 놓인 바 있다. 그럼에도 스페인 경제는 유로존의 다른 국가들에 비해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경제가 안정되기 위해서는 안정된 정부가 선결되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깬 셈이다. 밀러 교수는 미국 온라인 쇼핑 스타트업 ‘자포스’ 사례도 이날 강연에서 언급했다. 자포스는 혁신적인 문화를 되찾겠다며 관리자를 없앤 것으로 유명하다.

LG경제연구원은 패디 밀러 교수로부터 최근 국내 정치와 경제 상황에 대한 조언을 얻었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재계가 최순실 게이트로 위기에 빠진 상황에서 ‘정치 리스크’ 극복 방안에 대한 해답도 얻었을 것으로 관측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199,000
    • +1.73%
    • 이더리움
    • 5,312,000
    • +0.47%
    • 비트코인 캐시
    • 649,500
    • +0.93%
    • 리플
    • 724
    • +0.14%
    • 솔라나
    • 230,400
    • +0%
    • 에이다
    • 631
    • +0.16%
    • 이오스
    • 1,144
    • +1.42%
    • 트론
    • 159
    • +0%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500
    • +1.3%
    • 체인링크
    • 25,050
    • -2.07%
    • 샌드박스
    • 648
    • +4.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