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입주물량 38만여 가구…2000년 이후 최대

입력 2016-12-07 11: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년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이 38만 채를 웃돌 전망이다. 2000년 이후 역대 최대 물량이다.

7일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내년 전국 입주물량(주상복합 및 임대아파트 포함)은 총 629곳으로 38만 2741가구에 달한다. 올해(28만8568가구)보다 32.6%(9만4173가구) 증가하고, 이전 최대 기록인 2008년(32만336가구)보다도 19.4% 늘어난 물량이다.

내년 입주물량은 공공택지가 주도할 전망이다. 화성 동탄2신도시(1만2,450가구)를 비롯해 △김포 한강신도시(7048가구) △시흥 배곧신도시(7294가구) △수원 호매실지구(7515가구) △부천 옥길지구(4841가구) △세종시(1만5432가구) 등이다.

수도권 입주물량은 244곳, 17만290가구로 전체 입주물량의 44.5%를 차지한다. 올해(11만6690가구)보다는 45.9%(5만3600가구) 증가한다.

이 중 △경기는 177곳, 12만4858가구 △서울은 45곳, 2만6966가구 △인천 22곳, 1만8466가구다. 서울은 올해보다 15.3%(3581가구) 증가할 전망이다. 강남4구(강남구·서초구·송파구·강동구)는 11곳, 7335가구로 올해(6922가구)보다 소폭 늘어난다.

경기는 올해(8만4951가구)보다 47% 늘어난 물량으로 화성, 시흥, 수원, 김포, 평택이 경기 입주물량 상위 5개 지역이다. 화성은 경기권 최대 물량인 2만2331가구로 이 중 동탄2신도시가 1만2450가구다. 시흥도 1만2729가구로 배곧신도시(7294가구), 목감지구(4410가구)에서 입주물량이 쏟아진다.

수원은 호매실지구(7515가구)를 바탕으로 1만2053가구의 입주물량이 나오고, 한강신도시가 포함된 김포(1만1547가구)와 소사벌지구 등 평택(7997가구) 순으로 입주물량이 많다.

김수연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이들 경기권 지역에서 세대수 대비 많은 입주물량이 나오는 만큼 국지적으로 공급과잉에 따른 전셋값 하락이 예상된다고 우려됐다"고 말했다.

부산은 2만4233가구로 올해보다 71.6%가 증가한다. 울산도 1만473가구로 226.1%가 늘어나지만, 대구는 2만1557가구로 올해보다 20.9% 줄어들 전망이다. 또 세종시가 1만5432가구 △경남 창원 1만4269가구 △경남 양산 9725가구 순이다.

한편 내년 월별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12월이 5만2611가구로 가장 많다. 이어 8월 4만298가구, 10월 3만6822가구 순이다. 가장 적은 달은 5월로 2만848가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황재균·장성우 아닌 박상원이 사과…KT 감독 "고참으로서 역할 잘한 것"
  • 교감 뺨 때리고 침 뱉은 초등 3학년생 '금쪽이'…엄마 반응은?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0
    • +0.82%
    • 이더리움
    • 0
    • +1.39%
    • 비트코인 캐시
    • 0
    • +4.29%
    • 리플
    • 0
    • -0.14%
    • 솔라나
    • 0
    • +0.21%
    • 에이다
    • 640
    • +0.31%
    • 이오스
    • 0
    • -1.16%
    • 트론
    • 0
    • +0.63%
    • 스텔라루멘
    • 0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0
    • +1.61%
    • 체인링크
    • 0
    • -0.74%
    • 샌드박스
    • 0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