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CGV 베트남, 최단 기간 1000만 관객 돌파

입력 2016-09-07 14: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침대관부터 반미 샌드위치까지...현지화 전략 공감대

▲베트남 CGV 이온 롱비엔(Aeon Long Bien) 극장 전경(사진=CJ CGV)
▲베트남 CGV 이온 롱비엔(Aeon Long Bien) 극장 전경(사진=CJ CGV)

CJ CGV가 베트남에서 최단 기간 관객 1000만 명 돌파 기록을 갈아치웠다.

CJ CGV는 지난 2일 기준으로 베트남에서 극장 관객 수가 1000만 관객을 돌파했다고 7일 밝혔다. 3분기 내에 1000만 명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CJ CGV는 지난해 12월 18일 1000만 관객을 최초 돌파하며 누적 1050만 관객으로 2015년을 마무리 지은 바 있다. 올해는 이를 3달 가량 앞당기며 연말까지 1500만 관객 동원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상황이다.

회사 측은 “베트남에 처음 진출한 2011년 당시 누적 440만 관객을 기록한 것에 비하면 불과 4년여 만에 3배가 넘는 가파른 성장세”라고 설명했다.

CJ CGV가 베트남에서 이처럼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특별관, 한국형 고품격 서비스, 라이프 스타일 마케팅, 그리고 베트남 로컬 영화 편성의 확대가 큰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

CJ CGV는 특별관에 대한 인식이 약했던 베트남에 ‘4DX’, ‘IMAX’, ‘스타리움’을 설치하며 베트남 영화 관람 문화를 선도하고 있다. 특히 지난 7월에 론칭한 침대관 ‘라무르’는 연인들의 인기에 힘입어 약 50%의 좌석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베트남 평균 좌석 점유율이 20%에 머물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두 배 이상 뛰어넘는 수치다.

서비스 면에서는 극장운영 전문가 양성센터 ‘CGV 유니버시티’를 베트남 현지에 도입했다. 유니폼 역시 한국 제품으로 교체해 세련미를 더했으며 프리미엄 멤버십 제도, 티켓 판매기, 포토티켓 서비스, 반미(bánh mì) 샌드위치 등 현지화한 매점 신 메뉴 등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했다. 지난 3월에는 안파비(Anphabe) 리서치 회사에서 조사한 베트남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100대 회사 중 엔터테인먼트 부문 1위로 선정될 정도로 베트남 내에서 CJ CGV의 위상은 높다.

30대 이하의 젊은층을 겨냥한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관객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베트남 커플들을 영화관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지난 3월부터 펼치고 있는 ‘러브 캠페인’이 대표적인 사례다. 야외 커플 페스티벌, 무비 다이어리 경품 이벤트 등 매달 다양한 행사를 통해 CGV 베트남의 2030 세대 관객 수는 작년 대비 40% 증가했다.

CGV 베트남은 다양한 작품 편성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2011년 진출 당시 CGV 베트남의 할리우드 영화 상영 비율은 85%에 달할 정도로 해외 영화 집중도가 높았다. 하지만 지난해 1월 베트남 및 한국 영화 전용 아트하우스를 3개관 론칭하는 등 꾸준히 상영을 확대함으로써 베트남 및 한국 영화 편성 비율을 35%까지 높였다. 2011년 11편에 머물렀던 베트남 영화 상영 편수는 2015년 35편으로 늘어났고, 같은 기간 한국 영화는 1편에서 16편까지 확대됐다.

CJ CGV 베트남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곽동원 상무는 “CGV 베트남은 올해 극장 수를 총 41개까지 확대하고, 2015년도 대비 30% 이상 성장한 150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끌어 모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곽 상무는 이어 “베트남 1위 사업자로서 2, 3선 도시까지의 극장 인프라를 구축하고 베트남 영화 중심의 영화를 편성할 예정이다”며 “‘토토의 작업실’ 등의 다양한 CSV 활동을 통해 베트남 영화 시장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CJ CGV는 9월 7일 현재 베트남 내 35개 극장 231개 스크린을 갖춘 베트남 1위 극장 사업자이다. 동사는 국내외 포함 총 7개국 349개 극장, 2694개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쿠팡 "'평생 먹은 것 중 제일 맛없다'는 직원 리뷰가 조작?" 공정위에 반박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집단 휴진 거부한 아동병원, 의협 회장 맹비난 "'폐렴끼' 만든 사람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902,000
    • -0.6%
    • 이더리움
    • 4,953,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605,000
    • -1.55%
    • 리플
    • 675
    • -0.59%
    • 솔라나
    • 204,600
    • -2.01%
    • 에이다
    • 584
    • -2.34%
    • 이오스
    • 927
    • -3.24%
    • 트론
    • 166
    • +0.61%
    • 스텔라루멘
    • 138
    • -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150
    • -2.64%
    • 체인링크
    • 21,000
    • -3.31%
    • 샌드박스
    • 539
    • -3.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