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한 50억 이하 꼬마빌딩, 7월 거래량 올 들어 최대

입력 2016-08-12 10: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공=리얼티코리아)
(제공=리얼티코리아)

50억 원 이하의 소형 빌딩 거래량이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갈 곳 잃은 개인투자자들이 뭉친돈이 빌딩거래에 몰린 것이다.

12일 중소형빌딩 전문 중개업체 리얼티코리아에 따르면 7월 빌딩 거래량은 총 209건으로 이중 50억 원 이하의 소형 빌딩 거래량은 145건을 기록, 전체의 69.37%를 차지했다. 특히 50억 원 이하의 빌딩 거래량은 전월(64건) 대비 2.27배 늘어났으며 이는 올해 들어 최대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50억 원~100억 원 사이의 빌딩의 거래량이 39건으로 뒤를 이었으며 100억~200억 원 16건, 200억 원 이상이 9건인 것으로 집계됐다. 7월 빌딩 거래규모 총액은 1조2648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 5월 8005억 원을 기록하며 올 최고치를 기록한 거래규모보다 58% 증가했다.

서울 강남구에서 거래된 빌딩 총 거래량은 48건으로 전체 거래량의 22.9%를 차지했다. 세부 동별로는 △논현동 15건 △역삼동 11건 △신사동 6건 △대치동 5건 △도곡동 3건 △청담동 3건 △삼성동 2건 △일원동 2건 △개포동 1건 이 매매거래 됐다.

50억 원 이하의 소형 빌딩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매수자 역시 개인 투자자가 우세를 보였다. 전체 매수자 중 개인고객이 73.6%를 차지했으며 법인은 26,4%를 나타냈다. 법인 매수자의 경우 전월대비 8.4%p가 늘어났다.

한편 지난달에는 미래에셋생명 강남사옥이 보톡스 제조업체 메디톡스에 팔렸다. 강남구 대치동에 소재하는 이 빌딩은 지하 4층~지상11층, 연면적 1만3372.07㎡로 총 820억 원에 매매됐다. 미래에셋생명은 매각 후 재임차 하는 세일즈앤리스백 방식으로 매각하기로 협의했다.

문소임 리얼티코리아 수석연구원은 “6월달에 금리가 한 단계 내려가면서 투자자들이 시장에 더 많이 참여한 것이 주요인”이라며 “이외에 빌딩을 계약하고 잔금을 치르고 소유권이 넘어가기까지 2~3개월의 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4~5월에 매매된 빌딩의 거래량이 이달에 집계된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146,000
    • +1.67%
    • 이더리움
    • 5,316,000
    • +0.28%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54%
    • 리플
    • 724
    • +0.42%
    • 솔라나
    • 230,100
    • -0.17%
    • 에이다
    • 633
    • +0.64%
    • 이오스
    • 1,143
    • +1.24%
    • 트론
    • 158
    • -0.63%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50
    • +0.77%
    • 체인링크
    • 25,060
    • -2.03%
    • 샌드박스
    • 646
    • +3.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