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中, 적극적 인수합병 통해 글로벌 시장 공급개혁 주도”

입력 2016-08-08 13: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제공=한국경제연구원)
(자료제공=한국경제연구원)

중국이 공격적 인수합병(M&A)를 통해 세계시장에서의 공급개혁을 주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8일 ‘중국의 공급개혁과 M&A 활성화’ 보고서를 통해 중국 국영기업이나 민간기업들이 적극적 기업인수합병을 통해 공급개혁에 상당한 진척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중국 국유기업은 해외 기업 인수와 국내 과잉산업 구조조정에 적극적인 기업의 인수합병에 나서고 있다. 2003년 설립된 중국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SASAC)가 관리하는 중앙기업 수는 최초 189개에서 지난 5월 106개로 43.9% 감소했다.

김윤경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지난해 4월 중국 정부 관계자가 중앙기업을 국가챔피언 기업 40개로 줄여나갈 것이라고 발표한 이후 중앙기업 간 인수합병이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국영기업 합병으로 탄생한 중국중차(고속철), 국가전략투자집단공사(원자력), 중국원양해운그룹(해운), 바오스틸·우한강철 합병회사(회사명 미정) 등이 매출과 자산 규모에 있어서 세계 최상위권으로 올라서면서 세계시장의 경쟁 지형을 이미 바꾼 상황이라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그 배경에 대해 김 부연구위원은 “세계시장에서의 중국 기업 간 과다한 경쟁을 방지하고, 하나의 중국 대표기업을 내세워 우위를 차지하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중앙기업들은 자금력을 이용해 해외 대기업을 인수. 에너지, 자원을 중심으로 대형 거래를 성사시키고 있으며, 민간기업 역시 공격적인 M&A를 통해 사업재편과 성장동력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민간 보험금융그룹인 포선그룹, 평안보험, 안방보험은 보험업을 바탕으로 중국내에서의 성장과 확보된 자금을 기반으로 해외의 금융기업을 인수한 바 있다. 특히 이들은 해외부동산 투자에 활발히 참여해 중국의 해외직접투자(ODI)의 내용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한국 금융시장 진출에도 활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안방보험은 중국기업 최초로 국내 금융기관인 동양생명을 2015년 인수한데 이어, 올해는 알리안츠생명을 인수했다. 또 안방보험은 2016년 스트래티직 호텔 앤 리조트를 인수했으며, 최근 스타우드를 인수하려 했으나 계획을 철회했다.

제조업도 상위권 글로벌 기업을 인수해 단번에 점유율과 기술력을 높이고 있다. 하이얼은 GE 가전부문 인수로 해외시장을 확대하고 내수시장에서의 이미지를 제고했다. 올해도 대만 폭스콘의 샤프 인수, 중국 메이디의 도시바 가전 사업부문 인수 등 기존 주력 기업들에 대한 차이나머니의 인수가 활발하다.

소비재와 문화산업에서도 차이나머니의 활약도 거세다. WH그룹은 미국 육가공업체인 스미스필드 푸드를, 다롄완다그룹은 AMC 엔터테인먼트를 인수했으며 이어 레전더리 엔터테인먼트 인수라는 대형 딜을 성사시켰다.

중국 IT 기업 역시 해외기업 M&A에 경쟁적으로 참여했다. 텐센트는 2015년 미국의 라이엇게임즈(리그오브레전드), 2016년 글로벌 모바일 게임 1위 업체인 핀란드의 슈퍼셀(클래시 오브 클랜)을 연이어 인수하며 글로벌 게임 배급의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다.

2015년 이후 들어 중국기업이 참여한 대형 거래(현재 진행 중)가 다수 나타나 중국기업의 역대 해외 M&A 순위에 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규모 면에서는 중국화공(켐차이나)의 스위스 신젠타 인수 제안이 최대 규모로 기록될 예정이다.

반면 한국기업은 2013년 이래 대형 해외 M&A를 찾기 어려운 현실이다. 한국기업의 M&A 규모는 2008년부터 2014년까지 같은 수준을 유지하다 2015년 들어 700억 달러(약 78조원)로 증가했지만 중국에 비해서는 미미한 수준이다.

한경연은 “중국기업의 해외기업 M&A는 2013년을 기점으로 대폭 증가했고 2015년 거래 수는 최대치를 기록했다”며 “하지만 한국기업의 해외 M&A는 거래규모 면으로는 증가했지만 과거와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거래 수는 2011년을 기준으로 감소 추세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항상 화가 나 있는 야구 팬들, 행복한 거 맞나요? [요즘, 이거]
  • 지난해 '폭염' 부른 엘니뇨 사라진다…그런데 온난화는 계속된다고? [이슈크래커]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장군의 아들' 박상민, 세 번째 음주운전 적발…면허 취소 수치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9·19 군사합의 전면 효력 정지...대북 방송 족쇄 풀려
  • 단독 금융위 ATS 판 깔자 한국거래소 인프라 구축 개시…거래정지 즉각 반영
  • KIA 임기영, 2년 만에 선발 등판…롯데는 '호랑이 사냥꾼' 윌커슨으로 맞불 [프로야구 4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7,231,000
    • +0.85%
    • 이더리움
    • 5,261,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656,500
    • +0.61%
    • 리플
    • 728
    • +0.14%
    • 솔라나
    • 233,400
    • +0.91%
    • 에이다
    • 639
    • +0%
    • 이오스
    • 1,120
    • -0.53%
    • 트론
    • 159
    • +0.63%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600
    • +0.52%
    • 체인링크
    • 24,410
    • -0.93%
    • 샌드박스
    • 639
    • +0.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