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 5100억원 감소…삼성ENG 유증 기저효과

입력 2016-04-25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월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 실적이 5148억원 감소했다. 전월 삼성엔지니어링의 대규모 유상증자에 따른 기저효과로 주식 발행 감소폭이 컸던 반면 회사채 발행이 증가해 감소폭을 줄였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월 중 공모를 통한 기업의 주식·회사채 발행 실적은 총 7조2809억원으로 전월 대비 약 6.6%(5148억원) 감소했다. 주식 발행액이 2213억원으로 전월보다 84.4%(1조1964억원) 줄었다.

전월 삼성엔지니어링의 1조2651억원 대규모 유상증자에 따라 기저효과가 반영되며 감소폭이 컸다. 3월 중 유상증자는 4건으로 총 1012억원 규모에 그쳤다. 전월보다 유상증자 건수는 1건 늘었지만 규모는 지난달(1조2971억원)에 못 미쳤다.

기업공개는 3건·1201억원 규모로 이뤄져 전월보다 0.4%(5억원) 감소했다.

반면 회사채 발행액은 7조596억원으로 전월보다 10.7%(6816억원) 증가했다. 일반회사채 발행은 19건·1조6029억원으로 전월보다 41.7%(1조1451억원)가량 줄었지만 은행채와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이 전월보다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은행채 발행은 9건·1조1169억원으로 전월 대비 148.2%(6669억원) 확대됐다. 시중은행의 발행액이 기존 4500억원에서 9669억원으로 증가했고 전월 발행 실적이 없었던 지방은행도 1500억원 규모로 신규 발행했다.

ABS 발행규모는 138건 1조8090억원으로 전월보다 131.9%(1조290억원) 늘었다. 3월 자동차 내수 판매가 증가하고 항공사의 자금 조달 수요가 발생하면서 전월 발행되지 않았던 오토론(5715억원)과 항공화물운임채권(4600억원)이 발행됐다.

할부금융사의 채권발행이 늘고 신탁회사도 신규발행하면서 금융채도 전월보다 5.5%(1208억원) 증가한 2조5308억원 규모를 기록했다.

전환사채(CP)와 전자단기사채 발행액은 116조2329억원으로 전월보다 16.7%(16조6079억원) 늘었다. 일반CP와 기타ABCP, 일반전단채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증권사의 전단채 발행액이 모두 증가했다.

한편 3월 말 회사채 잔액은 398조5278억원, CP·전단채 잔액은 160조1067억원 수준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명예훼손 의혹’ 김만배·신학림 구속…“증거인멸·도망 우려”
  • 전국 30도 안팎 넘는 더위…'호우경보' 제주는 오후부터 차차 그쳐
  • 생존 걸린 리스크 관리...은행들 계획표보다 빠른 준비[내부통제 태풍]
  • 맥도날드서 당분간 감자튀김 못 먹는다…“공급망 이슈”
  • “초코파이, 제사상에 올리기도”...베트남 조상님도 찾는 한국의 맛 [해외 입맛 홀린 K푸드]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단독 낸드 차세대 시장 연다… 삼성전자, 하반기 9세대 탑재 SSD 신제품 출시
  • 손정의 ‘AI 대규모 투자’ 시사…日, AI 패권 위해 脫네이버 가속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889,000
    • +0.39%
    • 이더리움
    • 4,972,000
    • -1.02%
    • 비트코인 캐시
    • 552,500
    • +0.82%
    • 리플
    • 692
    • -0.57%
    • 솔라나
    • 189,300
    • -0.58%
    • 에이다
    • 544
    • +0.37%
    • 이오스
    • 811
    • +1%
    • 트론
    • 166
    • +1.84%
    • 스텔라루멘
    • 132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900
    • +1.62%
    • 체인링크
    • 20,220
    • +0.05%
    • 샌드박스
    • 468
    • +2.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