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中 온라인시장 진출…넷이즈와 상품수출 계약

입력 2016-03-29 08: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마트가 중국 온라인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이마트는 29일 중국 북경에서 8억명의 회원을 보유한 중국 온라인 회사 넷이즈와 협약식을 갖고 올해 200억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를 기반으로 중국 온라인시장에서 이마트는 2018년까지 150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중국 내외 주요 VIP 파트너사 대표가 참석했으며, 국내 유통업체로는 유일하게 이갑수 이마트 대표이사가 참석했다.

이갑수 이마트 대표이사는 “이마트는 중국의 대표 IT 기업인 넷이즈와의 계약을 통해 중국 온라인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게 됐다”며 “이번 협약은 개별 진출이 어려운 국내 중소기업들의 해외 판로를 열어주는 전진기지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마트는 지난해 7월 넷이즈와 상품공급 등 상호 협력기반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후 넷이즈의 해외직구 전문사이트 카올라닷컴(Kaola.com)에 지난해 11월부터 시범적으로 상품 공급을 시작했으며, 올해 3월 26억원의 누계실적을 기록했다.

이마트는 이번 상품수출 확대제휴로 미국 시장에 이어 중국 온라인 해외직구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게 됐다. 향후 중국 시장에 한국 상품 수출을 위한 전진기지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국내 우수 중소 협력업체들의 해외 시장 판로 개척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중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과자, 건강식품, 헤어케어, 뷰티케어 등 170여개 가공ㆍ생활 상품을 중심으로 수출 품목을 선정해 운영한다. 향후 가전, 패션까지 상품군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마트 고급 식품 브랜드 피코크와 초저가 PL 노브랜드의 수출 물량도 점차적으로 늘려 나간다는 구상이다.

이마트는 이번 협약을 통해 2000만달러였던 올해 수출 목표도 최대 4000만달러까지 늘어나, ‘수출기업 원년’이라는 당초 계획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카올라닷컴의 매출신장에 따라 수출 물량이 확대되면 1억달러 수출 돌파도 조만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카올라닷컴은 넷이즈가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는 해외직구 전문사이트로, 지난해 5월 가오픈 이후 누계매출이 5000억원을 넘는 등 순항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110,000
    • +0.36%
    • 이더리움
    • 5,306,000
    • -0.3%
    • 비트코인 캐시
    • 641,500
    • -0.77%
    • 리플
    • 720
    • -1.1%
    • 솔라나
    • 228,500
    • -2.43%
    • 에이다
    • 625
    • -0.79%
    • 이오스
    • 1,120
    • -0.8%
    • 트론
    • 161
    • +1.9%
    • 스텔라루멘
    • 147
    • -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00
    • -0.41%
    • 체인링크
    • 25,420
    • -1.78%
    • 샌드박스
    • 614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