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캄보디아 등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성공 사례 공유

입력 2016-02-21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농촌진흥청은 22일 국제회의장에서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의 나라별 협력 사업 성과를 보고하고 발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연찬회를 연다.

이번 연찬회에서는 나라별로 2015년 한 해 동안 각 KOPIA 센터에서 수행한 협력 사업의 성과를 보고하고, KOPIA 주재국의 농업 환경과 협력기관 기술 수준을 분석해 국가별 맞춤형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발전 방안을 논의한다.

또한 지난해 캄보디아,태국 등 가장 우수한 성과를 낸 KOPIA 센터들에 대한 시상과 함께 사업 성과를 공유한다.

최우수 KOPIA 센터로 선정된 캄보디아 센터는 2015년부터 새마을운동과 연계한 육계 시범마을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육계 사양 기술과 사료 절감을 위한 옥수수 재배 기술을 3개 마을 70농가(32헥타르)에 확대 보급해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우수 KOPIA 센터로 선정된 태국 센터에서는 한국의 농업 기술 전수로 수입종을 대체하는 옥수수 일대잡종 품종 ‘NC3’ 종자를 생산하는 기술 개발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아프리카 우수 센터인 케냐 센터에서는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한 감자, 고구마, 옥수수 등 식량작물 품종 개발과 재배 기술 사업 성과를 보고한다.

중남미 우수 센터인 파라과이 센터는 새로운 소득 작물로 참깨 새 품종(IPTA-KO-7 CHORE PORA)을 KOPIA 센터와 파라과이 농업연구원이 공동으로 개발해 현지 새 품종으로 등록한 결과와 올해 KOPIA 시범마을 200농가에 확대 보급할 계획을 발표한다.

이양호 농진청장은 “우리나라 농업‧농촌의 발전 경험이 주재국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KOPIA 센터가 협력 사업을 잘 추진해 개발도상국 농가의 소득 향상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라고 말했다.

한편 농진청은 현재 20개 개발도상국에서 KOPIA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KOPIA 센터 주재국 농업 기관과 함께 농업기술개발과 현장 보급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KOPIA 사업은 개발도상국의 농업과 농촌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우수한 농업 기술과 농촌 개발 경험을 현지에 전수하는 맞춤형 농업 기술 개발‧보급 사업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밀양 성폭행 사건 재조명…영화 ‘한공주’ 속 가해자들은? [해시태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토큰으로 해외송금” 아고라 프로젝트에 KB국민·신한은행 참여한다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최강야구' 모닥불러 유희관·파이어볼러 니퍼트 등판에 당황한 대구고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11:0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256,000
    • -1.51%
    • 이더리움
    • 5,074,000
    • -2.12%
    • 비트코인 캐시
    • 641,000
    • -3.39%
    • 리플
    • 683
    • -2.57%
    • 솔라나
    • 218,800
    • -3.27%
    • 에이다
    • 608
    • -2.25%
    • 이오스
    • 969
    • -2.61%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9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74,650
    • -6.1%
    • 체인링크
    • 21,850
    • -3.87%
    • 샌드박스
    • 569
    • -4.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