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총리, 내년 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일본 초청...중국 측 반응은?

입력 2015-10-17 09: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연립여당 당수를 통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일본으로 초청했다. 아베 총리는 또한 국제회의에서 정상회담이 실현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고 중국은 이에 대해 원칙적인 차원에서 동의를 표시했다고 교도통신이 16일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일본 연립여당인 공명당의 야마구치 나쓰오 대표는 지난 1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 주석과 만났을 때 아베 총리 친서를 전달하면서 "도쿄의 벚꽃을 보러 오시면 하는 것이 우리의 바람"이라며 내년 봄 일본을 방문할 것을 요청했고, 시 주석은 웃는 얼굴로 고개를 끄덕였다고 밝혔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이 나오자 두 사람의 접촉과 아베 총리 친서가 시 주석에게 전달됐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 "(야마구치 대표는) 아베 총리가 국제회의 기간 중 중일 정상회담이 실현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는 뜻을 전했다"고 말했다.

화 대변인은 "우리는 고위층 왕래가 고위층의 관계 발전을 추진하는 데 있어 특수하고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또한 양국 인민의 이해·지지와 분리될 수 없다고 본다"며 "우리는 양측이 서로 함께 노력해 고위층 왕래를 위한 유리한 조건과 분위기를 만들어갈 것을 희망한다"고 전했다.

통신은 이같은 반응이 아베 총리의 정상회담 필요성에 원칙적으로 동의하면서도 실현 가능성 부분은 '인민의 이해·지지'라는 여지를 둔 것으로 해석했다.

중일 정상은 오는 11월 1일경 서울에서 열릴 한중일 3국 정상회담에서 대면할 것으로 보인다. 이 회의에는 리커창 중국 총리가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언론들은 아베 총리가 이번 한중일 3국 정상회담에서 한국, 중국과 반드시 양자 정상회담을 가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중국 화 대변인은 시 주석의 방일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구체적인 반응을 피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시진핑 방일'에 대한 공개적인 언급이 자국민들에게 중일 관계가 급속도로 가까워지고 있다는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중국이 부담스러워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의 주요 관영언론들은 시 주석과 야마구치 대표의 회동 소식을 거의 다루지 않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통령실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 안해"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세계증시 랠리서 韓만 소외 [불붙은 세계증시, 한국증시는 뒷걸음 왜]①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241,000
    • +0.51%
    • 이더리움
    • 5,312,000
    • -0.69%
    • 비트코인 캐시
    • 642,500
    • -1.08%
    • 리플
    • 721
    • -0.83%
    • 솔라나
    • 228,700
    • -2.18%
    • 에이다
    • 625
    • -1.26%
    • 이오스
    • 1,121
    • -1.06%
    • 트론
    • 162
    • +2.53%
    • 스텔라루멘
    • 148
    • -1.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000
    • -0.35%
    • 체인링크
    • 25,500
    • -1.32%
    • 샌드박스
    • 612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