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분쟁 2라운드] '김장리 vs 김앤장'… 롯데가 소송전 법률대리인 보니

입력 2015-10-12 16: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장·리와 김앤장의 대결.'

신동주(61)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이 신동빈(60) 롯데그룹 회장을 상대로 소송 전면전을 선언한 가운데 양측의 법률대리인도 관심을 끌고 있다.

12일 법조계에 따르면 신 전 회장 측의 법률대리는 법무법인 양헌이 맡았다. 양헌은 법무법인 김·장·리와 법무법인 평산이 합병돼 설립된 로펌이다. 영문표기는 여전히 'Kim Chang&Lee'다. 롯데그룹 측 대리를 국내 최고의 로펌 김앤장 법률사무소(Kim&Chang)가 담당하고 있는 것과 묘한 대조를 이룬다.

법무법인 양헌은 대형로펌은 아니지만, 기업법무 특히 기업지배구조에 무게중심을 둔 로펌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대중공업의 CJ투자증권 인수, 경남기업 M&A, 국제금융공사(IFC)의 하나은행과 장기신용은행, 무림페이퍼, 쌍용투자증권, 일진전기 등에 대한 지분 참여 등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선봉에는 김수창(60·사법연수원 11기) 변호사가 나섰다. 고려대 출신의 김 변호사는 미국 뉴욕 밀뱅크(Milbank), 트위드(Tweed), 하들리앤맥클로이(Hadly & McCloy) 법률사무소 등에서 근무했다. 재정경제부 SOC위원회 전문위원,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재정경제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위원회 전문위원, 전국경제인연합회 SOC 위원회 전문위원 등을 맡았다.

국제금융과 기업구조조정 및 M&A업무를 주로 맡고 있다. 김 변호사는 신 전 부회장이 소송전을 선언한 지난 8일 기자회견장에도 동석해 기자들과 일문일답을 주고받기도 하는 등 이번 소송 전면에 나서 눈길을 글고 있다.

소송을 당하는 롯데그룹 측은 전관 출신 변호사를 내세웠다. 이혜광(56·14기)·안정호(47·21기) 변호사는 둘 다 서울고법 부장판사 출신으로, 법원행정처에서 기획조정실 심의관과 사법등기국장을 각각 지내는 등 법원 내에서도 엘리트 법관으로 손꼽혀 왔다. 이 변호사는 기업지배구조, 안 변호사는 기업형사 소송과 화이트칼라범죄에 강점을 가진 전문가로 꼽힌다.

대형로펌 소속의 한 변호사는 "롯데그룹 정도 되면 컨플릭트(이해충돌:한 로펌이 한 사건의 이해가 충돌하는 당사자 대리를 동시에 맡지 못하는 것) 문제 때문에 대형로펌이 신 전 부회장 측에 서기는 쉽지 않다"며 "과거 삼성을 상대했던 엘리엇이 중소로펌인 넥서스를 선임했던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대기업 사건을 수임해야 하는 대형로펌 입장에선 반대편에 서기 힘들다는 이야기다.

신 전 부회장은 지난 8일 서울중앙지법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송용덕 호텔롯데 대표이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또 회계장부 등을 열람하고 및 등사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취지의 가처분 신청도 함께 냈다.

가처분 심문기일은 이달 28일 오전 10시 30분으로 잡혔다. 손해배상 청구소송 첫 기일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또 고개 숙인 백종원 “모든 방송 활동 중단, 더본코리아 경영에 집중”
  • 버핏 빈자리 메울까…에이블의 버크셔에 쏠린 눈
  • [르포]‘갓 수확·갓 착즙·갓 배송을 원칙으로’…풀무원녹즙 도안공장[녹즙의 재발견]
  • 韓 의약품에 美 관세?…정부 “공급망 안정 기여, 관세조치 불필요”
  • 이창용 “환율 예단 어려워…정치 불확실성 빨리 끝내야”
  • 관세 공포·요동치는 환율…아시아 증시서 발 빼는 개미들
  • 세종 아파트, 전세도 '들썩'…"공급 가뭄에 오를 수밖에"
  • 국힘 대선후보 단일화 격랑…金 "후보 일정 중단", 韓 "실패하면 국민 배신"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866,000
    • +0.06%
    • 이더리움
    • 2,528,000
    • -1.37%
    • 비트코인 캐시
    • 502,000
    • -0.2%
    • 리플
    • 2,988
    • -2.13%
    • 솔라나
    • 203,400
    • -0.97%
    • 에이다
    • 927
    • -2.11%
    • 이오스
    • 974
    • -2.7%
    • 트론
    • 348
    • -1.42%
    • 스텔라루멘
    • 363
    • -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200
    • -4.2%
    • 체인링크
    • 18,960
    • -3.02%
    • 샌드박스
    • 378
    • -2.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