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전망] 옐런 발언ㆍ미국 GDP 확정치 등에 초점

입력 2015-09-20 10: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그리스 총선ㆍ시진핑 방문도 주목

뉴욕증시는 이번 주(9월 21일~25일)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 발언과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확정치 등이 향방을 좌우할 전망이다.

지난주 뉴욕증시는 연준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주간 기준으로 다우지수가 0.30%, S&P500지수는 0.15% 하락했지만 나스닥지수는 0.10% 올랐다.

옐런 연준 의장과 각 지역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의 연설이 이번 주 예정돼 있다. 옐런은 FOMC 기자회견에서 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했지만 시장은 이번 연설에서 연준이 얼마나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을 우려하는지 또 금리인상 시점은 언제가 될 것인지 등에 대한 힌트가 나오길 기대하고 있다.

이미 연은 총재들은 FOMC가 끝난 후 이뤄진 연설에서 연내 금리인상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19일(현지시간)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연내 금리인상이 적절하다”며 “너무 오랫동안 기다리면 가파르고 갑작스럽게 금리를 올려야 할 압력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도 같은 날 연설에서 “미국 경제는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할 정도로 충분히 회복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25일에도 연설이 잡혀 있어 다시 한 번 ‘매파’적인 입장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은 총재와 에스더 조지 캔자사시티 연은 총재도 이번 주 연설한다. 옐런 의장은 24일 매사추세츠 주 암허스트의 매사추세츠대에서 강연이 잡혀있다.

한편 25일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확정치가 발표된다. 한 달 전 수정치와 같은 연율 3.7%를 기록할 것이라고 시장은 내다보고 있다. 만일 확정치가 수정치보다 오른다면 연내 금리인상 주장이 더욱 힘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스는 20일 총선이 시작됐다. 알렉시스 치프라스 전 총리가 이끄는 급진좌파연합(시리자)가 최대 야당 신민주당이 지지율에서 박빙을 보이는 가운데 어디가 승리할지 주목을 받고 있다. 벤 메이 옥스퍼드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그리스 총선 결과 시리자나 신민주당 누가 이기든지 구제금융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며 “둘 모두 3차 구제금융 협정을 지킬 것이라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주요 2개국(미국과 중국, G2) 정상이 중국 경기둔화 등 글로벌 경제 불안에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도 관심을 끌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2일 나흘간의 국빈방문 일정을 시작하며 오는 25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갖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이어 첸백시까지…'분쟁'으로 바람 잘 날 없는 가요계 [이슈크래커]
  • "여름에는 비빔면"…부동의 1위 '팔도비빔면', 2위는? [그래픽 스토리]
  • 박스권에 갇힌 비트코인, 美 경제 지표·연준 눈치 보며 연일 횡보 [Bit코인]
  • 치열해지는 제 4인뱅 경쟁...시중은행이 뛰어드는 이유는
  • 방탄소년단 진 전역 D-1, 소속사의 당부 인사 "방문 삼가달라"
  • 오물풍선 자꾸 날아오는데…보험료 할증 부담은 오롯이 개인이?
  •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 한국 축구대표팀, 오늘 오후 8시 월드컵 예선 6차전 중국전…중계 어디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400,000
    • -3.5%
    • 이더리움
    • 4,911,000
    • -4.79%
    • 비트코인 캐시
    • 621,500
    • -5.55%
    • 리플
    • 677
    • -3.01%
    • 솔라나
    • 209,000
    • -7.89%
    • 에이다
    • 591
    • -4.83%
    • 이오스
    • 958
    • -3.62%
    • 트론
    • 165
    • +0.61%
    • 스텔라루멘
    • 136
    • -2.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850
    • -8.12%
    • 체인링크
    • 21,050
    • -6.07%
    • 샌드박스
    • 558
    • -4.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