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캐면 캘수록 나온다… 유통업계 비리 ‘뒷돈 꿀꺽’

입력 2015-07-15 10: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선애 산업국 유통팀 기자

올해 유통업계는 ‘윤리경영’을 강조하면서 스스로를 강하게 채찍질했다. 지난해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롯데홈쇼핑 납품비리’와 ‘홈플러스의 대국민 사기극’ 등으로 국민들의 신뢰가 추락하자 업계 스스로 채찍을 쥔 것이다.

‘롯데홈쇼핑 납품비리’는 말단 직원부터 대표까지 무더기로 연루된 최악의 비리 스캔들로, 업계 전반을 흔들어 놓았다. 롯데의 간판 최고경영자(CEO)였던 신헌 전 롯데쇼핑 대표는 회사자금 3억여원을 빼돌리고, 납품업체로부터 1억원대 뇌물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충격을 더했다.

홈플러스의 비리는 국민들의 공분을 샀다. 경품으로 내건 고가의 승용차를 직원이 빼돌린 것은 물론 경품에 응모한 고객들의 개인 신상정보를 보험사에 팔아 막대한 부당 이득을 챙겼다.

홈쇼핑, 마트, 백화점 등 유통업계는 올해 집안 단속을 하면서 윤리경영을 외쳤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홈쇼핑 납품 비리를 강하게 질타한 이후 조직 쇄신의 차원에서 경영투명성위원회를 만드는 등 경영투명성 강화에 박차를 가했다.

그런데 이 같은 분위기가 첫 해도 넘기지 못하고, 찬물을 제대로 뒤집어썼다. 이번에는 마트 1위 업체 이마트가 뒷돈을 먹었다. 최근 이마트의 본사 광고팀 직원이 한 광고 대행업체에 광고를 몰아주고 뒷돈을 받은 사실이 적발돼 회사를 그만뒀다. 이 직원이 받은 돈은 7년여 동안 20억원에 육박한다. 이마트는 내부 감사를 통해 임직원들의 비리를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정 기업의 노력만으로 불합리한 관행이 개선되기 어렵다. 만천하에 드러난 납품 비리는 조직적이고 체계적이다. 2012년 NS홈쇼핑, GS샵, 현대홈쇼핑 등에서 대규모 납품비리가 발생한 지 2년도 안된 상황에서 롯데홈쇼핑, 홈플러스 등에서 또다시 뒷돈 챙기기가 벌어졌다. 올해는 이마트도 동참했다. ‘업계의 관행’이라고 하기엔 너무 명백한 부정부패다. 외부 전문가들의 객관적 평가를 바탕으로 납품 비리 근절을 위한 윤리경영 시스템이 시급한 상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책임경영 어디갔나"…3년째 주가 하락에도 손 놓은 금호건설
  • "노란 카디건 또 품절됐대"…민희진부터 김호중까지 '블레임 룩'에 엇갈린 시선 [이슈크래커]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새로운 대남전단은 오물?…역대 삐라 살펴보니 [해시태그]
  • 尹 "동해에 최대 29년 쓸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올해 말 첫 시추작업 돌입"
  • "이의리 너마저"…토미 존에 우는 KIA, '디펜딩챔피언' LG 추격 뿌리칠까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200,000
    • +1.5%
    • 이더리움
    • 5,314,000
    • +0.09%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15%
    • 리플
    • 724
    • +0%
    • 솔라나
    • 230,400
    • -0.48%
    • 에이다
    • 633
    • +0%
    • 이오스
    • 1,142
    • +0.62%
    • 트론
    • 158
    • -0.63%
    • 스텔라루멘
    • 149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300
    • +0.35%
    • 체인링크
    • 25,200
    • -1.75%
    • 샌드박스
    • 645
    • +3.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