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甲乙 관계' 개선나선 안충영 동반위원장… "대리점 영업관행 조사 추진"

입력 2014-12-03 18: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강제력 없지만 유통업계에 긴장감 부여할 듯… 결과 나쁠 시 공표하는 방안도 검토

▲안충영 동반성장위원장(오른쪽 첫 번째)이 3일 여의도 인근 음식점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동반성장위원회)

동반성장위원회가 ‘갑을(甲乙) 관계’가 여전한 대기업-대리점간 영업관행에 대한 체감도 조사를 추진한다. 그동안 대리점들에게 횡포를 부렸던 유통 대기업들의 영업현장 관행을 낱낱히 조사해 이들 기업에게 도의적 책임을 짊어지게 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동반위의 이번 체감도 조사가 유통업계의 선순환 문화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진다.

안충영 동반위원장은 3일 여의도 인근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근 식품ㆍ주류회사들을 중심으로 대리점 영업관행이 재현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며 “이에 동반위는 동반성장지수 평가와 같이 유통 대기업에 대해 체감도 조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대기업 본사-대리점간의 갑을 문제는 지난해 남양유업의 '물량 밀어내기' 파문을 통해 사회적인 현안으로 부각된 바 있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는 당시 과징금과 시정명령을 부과하는 등 나름대로 노력을 기울였지만, 아직까지 유통업계의 갑을 문화는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동반위가 이번 체감도 조사 추진을 결정하게 된 이유다.

동반위의 체감도 조사는 동반성장지수와 같이 법적 강제력은 없지만, 조사 자체만으로 유통업계에 긴장감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돼 파급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안 위원장은 "공정한 거래관계를 형성하도록 만드는 것이 체감도 조사의 목적"이라며 "아직 결과를 공개할 지 여부에 대해선 정해지지 않았지만, 결과가 나쁠 경우 공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동반위의 이번 체감도 조사는 공정위와 별도로 추진된다. 공정위와 함께 추진할 경우 자칫 단순 대기업 평가로 비춰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또한 농심, 남양유업 등 동반성장지수 대상에 포함되는 기업들의 경우, 기존 동반성장지수 평가에 체감도 조사 결과를 반영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도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김종국 동반위 사무총장은 "50개 이상 대리점을 둔 유통 대기업들이 10여곳이 있는데, 이들의 거래 관행이 개선됐는지 평가하겠다는 것"이라며 "동반위 자체적으로 체감도 조사 설문 형식을 개발하고 있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안 위원장은 최근 재합의가 진행 중인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대해서도 '상생협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안 위원장은 "부임 후 가장 주력하고 있는 부분이 바로 대ㆍ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이라며 "지금까지 CJ, 신세계, BGF리테일, 포스코, 이랜드 등 5개 대기업들과 상생협약을 했고, 앞으로 롯데와 SK 등과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상생협약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자율적으로 맺는 신사협정으로, 향후 국내 기업생태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현재 77개 품목의 적합업종 재합의 과정을 진행하고 있는 동반위는 최근 장류ㆍ순대 등 12개 민생품목 재합의를 결정됐고, 아스콘ㆍ부동액ㆍ인쇄물 등 3개 품목에 대해선 시장감시 결정을 내렸다. 또한 금형, LED조명기구 등은 이달까지 상생방안을 추가 논의하는 것으로 결정됐고 신규 품목인 막걸리는 대기업 시장 진입 자제, 중소기업과 프리미엄 브랜드 공동 개발 등으로 합의가 진행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소송’…상고심 쟁점은
  • 단독 그 많던 카드 모집인 어디로…첫 5000명 선 붕괴
  • '주가 급락' NCT·김희철 원정 성매매·마약 루머…SM 입장 발표
  • 윤민수, 전 부인과 함께 윤후 졸업식 참석…사진 보니
  • 6월 모평 지난 ‘불수능’ 수준…수험생들 “어려웠다”
  • 비트코인, 美 고용 지표 둔화 속 7만1000달러 일시 터치…5월 비농업 지표 주목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107,000
    • +2.39%
    • 이더리움
    • 5,255,000
    • +0.48%
    • 비트코인 캐시
    • 667,500
    • +2.14%
    • 리플
    • 729
    • +0.69%
    • 솔라나
    • 239,700
    • +4.17%
    • 에이다
    • 637
    • +0.31%
    • 이오스
    • 1,124
    • +1.72%
    • 트론
    • 157
    • -0.63%
    • 스텔라루멘
    • 148
    • +1.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400
    • +2.94%
    • 체인링크
    • 24,700
    • +0.49%
    • 샌드박스
    • 641
    • +2.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