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이 올해 1분기 매출액 2496억 원, 영업이익 402억 원을 기록했다고 23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3%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43.4%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같은 기간 41.6% 늘어난 322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액 및 영업이익의 감소는 올해 1월 발생한 항공기 화재에 따른 기재 손실 영향이 컸다. 특히 항공
에어프레미아가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함께 화재 및 응급상황에 대비한 모의훈련을 진행했다고 22일 밝혔다.
18일 진행된 훈련은 객실본부 및 인천지점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기내 화재 등 비상상황을 대비한 안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인천국제공항 내 공항소방대 교육장에서의 이론 교육을 시행하고, 실제 에어프레미아 항공기 내에서의 현장 실습도 진행했다.
제주항공 사고를 수습 중에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연이은 항공 사고로 비행기 포비아가 확산되고 있다. 통계로만 보면 비행기 사고 확률은 흔히 벼락을 맞을 확률보다 낮다고 한다. 2023년 기준 비행기 사고 발생 확률은 126만 편당 1건, 사망확률은 1370만 명당 1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일상에서 벼락에 맞을 확률(1/28만)보다 훨씬
항공유 3만5000파운드 실려 감식 연기보조배터리 화재 국내외서 다수 발생보안 검색 강화·보관 장소 지정 등 거론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사고가 본격적인 현장조사를 앞두고 위험관리평가에 들어갔다. 특히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기내 수화물 내 보조배터리가 지목되면서 수화물 규정이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31일 국토교통부
28일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를 두고 '보조배터리'나 전자 장비의 '배터리'에서 불이 발생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정윤식 가톨릭관동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31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화재는) 여러 가지 검토를 해야 하지만 현재는 보조배터리나 아니면 전자 장비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정 교수
지난해 LCC 이용객 FSC보다 많아과도한 운항·부족한 정비사 등 지적국토부 주재로 LCC 안전 대책 마련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발생 한 달여 만에 김해공항에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가 발생하면서 저비용항공사(LCC)에 대한 안전 강화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다. 이번 사고 원인은 기체결함이 아니라는 데 힘이 실리고 있지만 잇따른 사고에 소비자들의 ‘LC
대한항공, 에어부산 화재로 결항된 김포·부산 출발 각각 2편씩 운항인력 파견·임시편 투입
대한항공이 최근 그룹사로 편입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여파로 취소된 부산~김포 노선에 임시편을 30일부터 투입한다. 대한항공은 피해자 지원 등을 위한 대응 체제도 가동 중이다.
대한항공은 이날과 31일 국내선 부산~김포 노선에 임시편을 운항한다고 밝혔다.
김포
김해공항 주기장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사고에 대한 현장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철저한 원인 규명을 통한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박 장관은 29일 오전 10시30분 세종시 어진동 세종청사에 있는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방문해 사고 수습 상황에 대해 보고 받은 후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에 이어 잇따른 항공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김해공항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사고와 관련해 재발방지대책을 지시했다.
최 권한대행은 29일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사고로 항공기는 반소됐으나 탑승객 및 승무원 모두 무사히 탈출해 그나마 다행스럽게도 인명피해가 없었다”며 “다만 탈출과정에서 일부 승객이 부상이 발생한 것으로 알고 있어 신속한 후속조치가
김해공항 주기장에서 이륙을 준비하던 홍콩행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사고로 탑승객 3명이 경상을 입고 항공기 1대가 반소됐다.
2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10시 15분 김해공항 계류장에서 출발예정이던 에어부산 ABL391편(부산·홍콩, HL7763, A321) 여객기 화재사고로 탑승객 3명이 경상을 입었다.
경상자 3명은 허리통증, 팔다리 타박상
28일 오후 10시 15분께 김해공항 주기장에서 이륙을 준비하던 홍콩행 에어부산 항공기 BX391편 꼬리쪽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다행히 탑승객 170명과 승무원 6명 등 총 176명 전원은 무사히 탈출해 인명피해는 없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발생한 화재로 검은 연기가 치솟고 불이 앞쪽으로 빠른 속도로 옮겨붙으면서 소방당국은 오후 10시 38분
29일 무안공항에서 제주항공 2216편의 활주로 이탈사고로 179명이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정부는 내년 1월 4일까지 국가애도기간에 들어가는 등 국민은 물론 해외에서도 추모의 메시지를 전하는 상황인데요.
비극적인 소식과 함께 일각에서는 어떤 문제가 이번 참사의 원인이 됐는지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가장 유력한 원인은
미국 CNN의 인도 채널이 일본 도쿄 하네다공항 일본항공(JAL) 충돌사고 라이브 영상을 유튜브에 실시간으로 올리면서 대한항공 여객기 사진을 띄워 논란이 일었다.
3일 NHK에 따르면 전날 삿포로 산치토세 공항을 출발해 하네도 공항으로 향하던 JAL516편이 착륙 과정에서 해상보안청 소속으로 추정되는 항공기와 충돌했다. 이 사고로 비행기 왼쪽 엔진 부분에
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오후 일본 하네다 공항의 활주로에 계류 중이던 일본항공(JAL) 소속 여객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해당 항공기 내부에 승객 탑승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현지 공영방송인 NHK의 보도 영상을 보면 항공이 엔진 부분에서 불길이 발생해 소방대원들이 진화 작업 중이다.
북한 평양을 출발해 중국 베이징으로 향하던 북한 고려항공 여객기가 항공기 화재로 인해 중국 선양 공항에 긴급 착륙했다.
교도통신은 항공기 추적 사이트 등을 인용해 해당 항공기가 1993년형 투폴레프 Tu-204 기종으로, 이날 오전 8시25분(중국 현지시간)께 북·중 국경을 넘은 직후 방향을 틀었다고 전했다.
이 항공기는 이후 오전 8시50분께 선양
일본 도쿄 하네다 공항에서 승객과 승무원 319명을 태운 채 이륙 준비를 하던 대한항공 여객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승객과 승무원들은 사고 즉시 탈출해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해당 사고 여객기는 보잉사의 B777-300 기종으로 지난해 12월 김포공항에서 하네다로 향하던 중 엔진 고장을 일으켜 오사카에 비상착륙한 여객기와 동일한 기종이다.
27
일본 하네다를 출발해 김포로 향하는 대한항공 여객기 2708편이 이륙 직전 왼쪽 날개 부분에서 연기가 나와 승객들이 대피했다.
일본의 니테레뉴스24는 27일 오후 12시 45분께 도쿄 하네다공항의 2터미널에서 이륙 하려고하던 대한항공 비행기의 엔진에서 연기가 나와 이륙을 중지했다고 보도했다.
일본 국교성에 따르면 연기가 난 것은 오후 12시 20분
인천국제공항공사는 12일 오전 인천공항 여객터미널 공항운영센터에서 인천소방안전학교와 구조소방분야 교육훈련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인천공항공사가 인천소방안전학교와 체결한 업무협약은 공항소방대원의 소방학교 전문교육과정 참여, 인천지역 소방공무원의 항공기 실화재 진압훈련 참여, 상호 공동연구, 정보공유 및 교수진 지원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내달 열리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를 앞두고 7일 오후 2시30분 인천국제공항에서 20여개 기관, 500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항공기 사고 위기 대응 긴급구조 종합 훈련'을 실시한다.
국토부 서울지방항공청, 소방방재청 인천소방안전본부가 주최하고 인천국제공항공사, 아시아나항공이 주관하며 인천시, 관계 기관·단체 등도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