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카페 콘셉트 몰입형 팝업MZ세대 흥미 요소 가득 담아
국내 홈카페 1위 네스프레소(Nespresso)가 ‘팝업 성지’ 성수에 왔다. 대표 커피 캡슐 제품인 ‘버츄오’를 독보적인 홈카페 브랜드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11일 네스프레소는 서울 성수동에 몰입형 팝업스토어 ‘더블로 진해지는, 버츄오 하우스’(버츄오 하우스)를 연다. 정식 오픈 하루 전인 1
코로나 이후 빠르게 일반화된 홈카페 문화와 원두가격 급등에 따른 고물가 이슈까지 번지면서 캡슐 커피 시장도 빠르게 커지고 있다. 실제 2020년 2160억 원 수준이던 국내 캡슐커피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4041억 원 수준으로 2배 가량 급성장한 가운데 업계 1, 2위인 네스프레소와 동서식품 등을 중심으로 유통업계가 속속 참전하고 있다.
26일 유
작년 스타벅스 디카페인 3270만 잔 판매…전년비 55%↑이디야커피 디카페인 커피 판매량도 1년새 40% 증가수요 증가하자 국내 디카페인 생두ㆍ원두 수입량도 확대
건강한 식습관을 추구하는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 문화가 확산하면서 ‘디카페인 커피’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디카페인 커피란 카페인 함량을 90% 이상 제거한 커피로, 각성효
동서식품은 1968년 창립 이래 커피믹스, 인스턴트 커피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국내 커피 시장을 선도해왔다. 동서식품은 그 자리에 안주하지 않고 2023년 프리미엄 캡슐커피 브랜드 ‘카누 바리스타’(KANU BARISTA)를 선보였다.
카누 바리스타는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커피인 아메리카노에 특화된 맛과 용량을 구현했다. 기존
소비자 10명 중 8명은 카페인이 97% 이상 제거된 경우 '디카페인 커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선 카페인 함량을 90% 이상 제거하면 디카페인(탈카페인)으로 표기할 수 있어 기준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6일 부산소비자단체협의회는 시중에 판매 중인 디카페인 캡슐커피 15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표시사항, 카
홈플러스는 ‘심플러스 메가 PB 선언’ 2주차 행사를 20일부터 27일까지 8일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심플러스는 홈플러스 자체브랜드(PB)다.
이번 행사를 통해 신상품 ‘국내산 농산물 100% 썰은 배추김치’를 1만990원에 판다. 또 ‘블렌드 캡슐커피 2종’은 각 2990원에, ‘1A 락토프리 우유’는 2690원에 내놓는다. 이밖에 참기름, 짜
네스프레소코리아, 15일 신규 캠페인 미디어 간담회박성용 대표 “버츄오를 홈카페 대표 브랜드로 확장”‘원터치 바코드 테크놀로지’로 최적의 커피 맛 구현
“맞춤형 전략을 통해 버츄오가 한국 홈카페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박성용 네스프레소코리아(네스프레소) 대표는 15일 오전 11시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202
삼성‧LG, CES 전시관 선공개스마트홈 확장 개념 제시
“연결, 공간, 확장.”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박람회 ‘CES 2025’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가장 많이 반복한 단어들이다.
인공지능(AI) 가전을 만드는 두 회사는 그 기능을 보다 넓혀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가정에서부터 모빌리티, 상업·가상공간으로 그 범위도
6일 LVCC 센트럴홀 사전 부스 투어투명 올레드로 만든 ‘시그니처 올레드 T’ 눈길
LG전자가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박람회 ‘CES 2025’에서 전시관을 꾸리고 인공지능(AI)을 다양한 공간으로 연결‧확장해 변화하는 일상을 선보였다. 가정에서 모빌리티, 상업공간, 가상공간까지 AI 기술을 확대하겠다는 것이 LG전자의 비전이다.
LG전자
집이나 사무실에서 캡슐커피를 즐기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동서식품의 프리미엄 캡슐커피 브랜드 ‘카누 바리스타’가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2월 출시된 카누 바리스타는 기존 에스프레소 캡슐 대비 1.7배 많은 9.5g의 원두를 담았다. 로스팅 강도에 따라 라이트 로스트, 미디엄 로스트, 다크 로스트, 디카페인, 싱글 오리진 등 총 13종의 전용 캡슐을 갖췄
국내 최초 인스턴트 원두커피 카누가 13년 만에 브랜드 아이덴티티(BI)를 바꾼다.
동서식품은 커피 브랜드 카누(KANU)의 제품 디자인과 품질을 개선하는 ‘카누 이노베이션’을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동서식품은 카누 BI와 패키지 디자인을 전면 변경했다. 신규 BI는 간결한 서체를 사용, 가독성을 높였다. 패키지에는 카누 스틱·캡슐·원두 공통 레
집이나 사무실에서 간편하게 캡슐커피를 즐기는 사람이 늘어나는 가운데 ‘카누 바리스타’가 존재감을 키운다. 카누 바리스타는 동서식품이 선보인 프리미엄 캡슐커피 브랜드다.
지난해 2월 출시된 카누 바리스타는 기존 에스프레소 캡슐 대비 1.7배 많은 9.5g의 원두를 담아 풍부한 양의 아메리카노를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로스팅 강도에 따라 라이트 로스
국내 1위 인스턴트커피 제조사인 동서식품이 가격 인상을 하면서 커피값 도미노 인상이 우려된다. 업계 안팎에서는 동서식품의 경쟁사뿐 아니라 커피전문점에도 영향을 미쳐 ‘커피플레이션(커피+인플레이션)’이 확산할 것이란 전망이다. 일각에선 연말 성수기를 노린 국내 식음료업계가 잇달아 가격인상 대열에 합류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4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동
동서식품은 커피 제품 출고 가격을 15일부터 평균 8.9% 인상한다고 1일 밝혔다. 대상 제품은 인스턴트 커피, 커피믹스, 커피음료 등이다. 캡슐 커피는 제외다.
스테디셀러인 맥심 모카골드, 카누 아메리카노 등의 인상률은 9.5%다.
이에 따라 '맥심 모카골드 리필 500g'은 1만7450원에서 1만9110원으로, '맥심 모카골드 커피믹스 2.
동서식품은 '카누 캡슐커피' 신제품 5종을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한 제품은 카누 바리스타 머신 전용 2종과 네스프레소 호환 3종이다. 전용 캡슐 2종은 △카누 이터널 마운틴 △카누 세레니티 문 디카페인이며, 호환 3종은 △카누 싱글 오리진 에티오피아 △카누 싱글 오리진 콜롬비아 △카누 싱글 오리진 인도네시아다.
카누 이터널 마운틴은 강하
이마트는 자체브랜드(PB) 피코크의 디저트 상품을 확대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마트가 디저트 상품군을 강화하는 것은 홈카페 시장이 커지면서 디저트를 찾는 수요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마트는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해 피코크을 통해 티타임용 비스킷과 냉동 베이커리류 상품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곁들여 마시는 커피, 디카페인 차 등 다양한 음료
커피전문기업 동서식품이 지난해 기준 생산실적 ‘1조 원 클럽’에 입성했다.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 여타 식음료기업과 달리 커피전문 제조 기업의 성과란 점에서 유의미하다. 분말형 커피 뿐만 아니라 캔커피와 캡슐커피까지 포트폴리오를 다양한 것이 생산 실적을 끌어올린 주요인으로 분석됐다.
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2023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에 따르면
LG전자가 다음 달 25일까지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에 위치한 ‘그라운드220’에서 LG 랩스(LG Labs)의 다양한 제품을 체험하는 ‘우와한 Life’s Good 연구소’ 팝업존을 운영한다고 31일 밝혔다.
LG 랩스는 LG전자의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 경험을 소개하는 마케팅 플랫폼이다.
팝업존은 △맛과 향이 다른 두 가지의 캡슐을 한
네스프레소의 글로벌 첫 제휴카드 선봬
신한카드가 프리미엄 커피 브랜드 네스프레소와 손잡고 제휴카드 상품을 선보인다. 네스프레소가 카드사와 손잡고 제휴카드를 출시하는 건 한국이 처음이다.
신한카드는 네스프레소 코리아와 손잡고 ‘네스프레소 신한카드’를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양사는 카드 출시와 함께 브랜드 콜라보 등 다양한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동서식품은 환경부, 우정사업본부와 ‘일회용 커피 캡슐 회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전날 세종시 정부종합청사 환경부 회의실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박영순 동서식품 부사장과 유승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 곽병진 우정사업본부 경영기획실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커피 캡슐의 분리배출과 재활용 활성화를 통한 자원순환체계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