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생명 매각 또 불발… 장기화 전망

입력 2014-09-11 11: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예비입찰 무산… 주요 LP와 펀드 만기 연장 논의… 산은 “대우증권과 패키지 딜 원칙상 불가능”

KDB생명보험 매각이 또 다시 무산됐다. 매각가격과 인수 희망가격 차이가 커 인수 주체가 나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KDB생명 매각이 장기전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KDB생명 매각주관사인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은 지난 5일 예비입찰에 참여한 국내 소형 사모펀드(PEF) 1곳을 적격인수후보(쇼트리스트)에 포함시키지 않기로 최종 결정했다.

앞서 지난 달 29일 국내 사모펀드 한 곳이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바 있다. 그러나 자금여력과 조달 측면에서 여의치 않자 매각주관사에서도 난색을 표명했고, 사모펀드 역시 인수 의사를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정관이 허락하는 한 주요 LP들과 펀드만기 연장을 논의하고 이후 여건을 봐 가면서 매각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라며“현재 가장 큰 목적은 회사 제고를 높힌 이후 시장 여건이 좋아지면 재매각에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KDB생명의 매각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인수 가격이다. 산은PEF는 지난 2010년 칸서스자산운용과 함께 65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KDB생명(옛 금호생명)을 인수했다. 유상증자 등을 통해 현재까지 KDB생명에 투입된 금액은 인수대금 포함 총 8500억원이다. 산업은행이 경영권 프리미엄과 투자 이익을 뽑아내기 위해서는 최소 1조원 이상은 받아야 한다.

실제로 지난 7월 진행된 1차 매각 당시 산업은행은 7000억원 가량의 매각가격을 희망했지만 DGB금융지주가 제시한 인수가격과 차이가 커 무산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사실상 연내 KDB생명의 새주인 찾기는 힘들어질 전망이다. 산업은행 역시 2차 매각이 불발 된 만큼, 내년 2월로 예정된 펀드 만기를 연장에 나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일각에서는 산업은행이 KDB생명을 금융 자회사아 함께 패키지로 묶어 판매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KDB생명 패키지 딜 여부에 대해 산업은행은 사실무근 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우리투자증권의 경우 우리아비바생명과 우리자산운용이 다 같은 우리지주 계열사라 패키지딜이 가능했지만, KDB생명의 경우 칸서스운용과 공동으로 조성한 펀드가 인수했기 때문에 대우증권과 패키지 딜이 원칙상 불가능하다”며 “현재로서는 국민연금 주요 펀드의 LP들과 펀드만기 연장이 최우선”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달아오른 우주개발 경쟁, 희비 엇갈린 G2…중국, ‘세계 최초’ 달 뒷면 토양 채취 눈앞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57,000
    • +0.36%
    • 이더리움
    • 5,342,000
    • +1.1%
    • 비트코인 캐시
    • 648,500
    • +1.33%
    • 리플
    • 725
    • -0.14%
    • 솔라나
    • 232,300
    • -0.51%
    • 에이다
    • 634
    • +1.12%
    • 이오스
    • 1,142
    • +0.79%
    • 트론
    • 158
    • +1.94%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00
    • -1.16%
    • 체인링크
    • 25,730
    • -0.35%
    • 샌드박스
    • 628
    • +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