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임 회장 "중징계로 상향, 아무 근거없다…납득 못한다"

입력 2014-09-10 15: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민은행 주 전산기 교체와 관련해 금융당국의 중징계를 받은 KB금융지주 임영록 회장이 징계 사유를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당초 경징계로 결론났던 사안을 객관적인 사실관계 변동이 없는데도 중징계로 상향조정했다며, 징계 사유였던 국민은행 임원 인사개입과 주 전산기 교체 리스크 은폐 등에 대해 "아무 근거없다"고 반박했다.

임 회장은 이날 서울 명동의 한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4일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이 내린 중징계 결정의 부당성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그는 "주 전산기 선정과 관련해 업체 선정이나 가격 등 최종 의사결정이 전혀 내려진 바 없다"며 "의사결정 과정 중인 일에 대해 중대한 책임을 지라는 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지 반문하고 싶다"고 반박했다.

주 전산기 교체와 관련해 리스크를 은폐한 사실은 전혀 없었다고 강조했다.

임 회장은 "성능검증테스트(BMT) 결과의 허위 보고와 관련해 1억건 중 400만건의 오류가 생기는 것을 누락했다고 (금감원이) 지적했으나, 이는 사전 거래테스트 중 발생한 오류에 불과하다"며 "이는 실제 전산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이 프로젝트를 보고받을 때마다 항상 투명하고 공정하게 처리하도록 강조해왔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국민은행의 IBM 전산시스템을 유닉스로 전환하는 테스트 과정에서 심각한 리스크가 발생했지만, KB금융지주 경영진이 이를 은폐해 이사회에 보고토록 국민은행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다고 지적했다.

임 회장은 "이 문제의 발단에는 IBM의 기득권 사수 입장이 강하게 반영됐다고 본다"며 "IBM은 국내에서 입지가 사라지는 상황으로, 은행권 대부분이 (유닉스로) 전환해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정도만 (IBM으로) 남아있다"고 밝혔다.

주 전산기 교체와 관련해 국민은행 임원 인사에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금감원 지적에 대해서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국민은행장이 협의를 요청한 (IT본부장) 임명안에 대해 원안대로 동의했고, 최종 결정은 은행장이 했다"며 "인사 협의 내용은 공문으로 근거가 남아 있다"고 말했다.

또 "지주와 자회사는 임원 인사에 대해 서로 협의할 권한과 의무가 있다"며 "지주와 자회사 간 부당한 인사개입이란 사실무근이고 성립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최수현 금감원장이 제재심의위원회의 결정을 번복한 것에 대해서도 정면으로 비판했다.

임 회장은 "제재심의위에서 심도있게 논의해 (경징계라고) 판단한 것을 금감원장께서 객관적 사실의 변동이 없는데도 중징계로 상향 조정했다"며 "이 때문에 조직 화합에 혼신의 힘을 기울이는 KB 전체가 뒤흔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감원의 결정으로) KB 임직원이 범죄자로 몰리고 직장을 잃을 위기에 처했을 뿐 아니라 KB는 혼란에 빠지고 직원은 사기가 떨어졌다"고 호소했다.

임 회장은 KB 전 계열사 비상경영체제를 통해 조속한 경영정상화를 이루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은행을 비롯한 전 계열사가 비상경영체제를 가동해 하루빨리 정상화를 이루고 KB의 리딩뱅크 위상을 반드시 회복해 나가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LIG 손해보험 최종 인수절차를 차질없이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적절한 비은행 포트폴리오를 강화할 수 있는 매물이 나오면 인수합병(M&A)하고, 경영실적을 제고할 수 있는 다각적인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임 회장은 "제가 흔들리면 또다른 최고경영자(CEO)를 세우는 기간에 또 혼란이 일어난다"며 "현 시점에서는 중징계에 대한 진실을 밝히는데 최선을 다하고, 조직 안정과 경영 정상화에 온힘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는 임 회장에 대한 최종 징계수위를 결정하는 12일 금융위 전체회의에서 중징계가 확정되더라도 사퇴하지 않을 것이라는 뜻으로 읽혀, 당분간 임 회장과 금융당국 간의 갈등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장 주문'인데, 수수료 내라고요?"…배달음식값 더 오를까 '노심초사' [이슈크래커]
  • 작년 로또 번호 중 가장 많이 나온 번호는 [데이터클립]
  • [르포] "등잔 밑이 어둡다"…서울 한복판서 코인 OTC 성행
  • 단독 영업비밀인데…‘원자로 설계도면’ 무단 유출 한전기술 직원 적발
  • 예상보다 더한 법인세 급감…올해도 '세수펑크' 불가피
  •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엔비디아, 시총 3조 달러 첫 돌파…애플 추월
  • 유튜브서 봤던 그 게임 '라스트워: 서바이벌', 좀비보다 사람이 더 무섭네? [mG픽]
  • 한화-KT전 '끝내기 벤치클리어링', 도대체 무슨 일?…4년 전 악연도 화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8,104,000
    • +0.02%
    • 이더리움
    • 5,336,000
    • +1.33%
    • 비트코인 캐시
    • 691,000
    • +3.99%
    • 리플
    • 728
    • +0.14%
    • 솔라나
    • 239,500
    • +0.29%
    • 에이다
    • 635
    • -0.63%
    • 이오스
    • 1,104
    • -1.43%
    • 트론
    • 158
    • -0.63%
    • 스텔라루멘
    • 14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600
    • +0.17%
    • 체인링크
    • 24,310
    • -1.18%
    • 샌드박스
    • 646
    • +0.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