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5 광대역 LTE-A’와 ‘갤럭시S5’ 차이점은?

입력 2014-06-19 12: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계 최초 ‘광대역 LTE-A’ 지원… 초고해상도 ‘슈퍼 아몰레드 QHD’ 탑재

▲삼성전자가 19일 스마트폰으로는 세계 최초로 '광대역 LTE-A' 신기술을 구현하는 '갤럭시S5 광대역 LTE-A'를 본격 출시한다. 사진은 '갤럭시S5 광대역 LTE-A' . 사진제공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19일 세계 최초로 ‘광대역 LTE-A’ 신기술을 구현하는 ‘갤럭시S5 광대역 LTE-A’를 본격 출시하면서, 기존 갤럭시S5와 갤럭시S5 광대역 LTE-A 간 차이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갤럭시S5 광대역 LTE-A는 갤럭시S5의 최신 기능을 그대로 탑재했다. 업계 최고 수준의 강력한 기능으로 호평받고 있는 1600만 고화소 카메라, 여름철 유용한 IP67 등급의 방수·방진 기능 등을 갖췄다. 더불어 심박수 체크 등을 통해 운동량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심박센서 등 기존 갤럭시S5의 혁신적인 최신 기능들이 적용됐다.

가장 큰 차이점은 세계 최초로 광대역 LTE-A를 기반으로 하고, ‘슈퍼 아몰레드 WQHD’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점이다.

갤럭시S5 광대역 LTE-A는 HD 해상도 보다 4배 선명한 WQHD(2560×1440)가 적용돼 스마트폰 최고의 화질을 자랑한다. 지난 3월 출시된 갤럭시S5에는 풀HD 슈퍼 아몰레드(1920x1080) 디스플레이가 적용됐다.

또한, 기존 LTE 스마트폰보다 3배 빠른 광대역 LTE-A 이동통신 서비스가 지원되는 갤럭시S5 광대역 LTE-A는 기존 LTE 대비 3배 빠른 225Mbps 속도로 동영상을 내려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GB 영화 다운로드를 받을 경우, LTE 기반 갤럭시S5는 1분 50초가 소요되는 반면, 갤럭시S5 광대역 LTE-A는 55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이론적으로만 보면, 10MB 용량의 뮤직비디오 1편을 약 0.4초만에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 같은 빠른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실시간 재생) 속도는 QHD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갤럭시S5 광대역 LTE-A에 꼭 필요한 조건이기도 하다. 초고해상도의 영상을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 할 경우 보다 빠른 통신 서비스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차이점은 스마트폰의 두뇌라 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가 퀄컴 스냅드래곤 801에서 스냅드래곤 805로 향상된 점, 램(메모리)이 2GB에서 3GB로 높아진 점이다. AP와 메모리 업그레이드로 스마트폰 구동 속도가 한층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가격이 다시 90만원 대로 높아진 점은 소비자들의 구매 부담을 높였다는 지적이다. 갤럭시S5 광대역 LTE-A 가격이 갤럭시S5보다 약 10만원 오르며 80만원 대로 내려왔던 스마트폰 가격이 90만원 대로 재진입한 것. 갤럭시S5의 올 3월 출시 당시 가격은 86만6800원 수준이었지만, 갤럭시S5 광대역 LTE-A의 출고가는 94만500원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2011년 국내 최초 LTE 스마트폰인 ‘갤럭시SⅡ LTE’를, 2013년에는 국내 최초 LTE-A 스마트폰 ‘갤럭시S4 LTE-A’를 출시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가족이라 참았지만"…장윤정→박세리, 부모에 눈물 흘린 자식들 [이슈크래커]
  • 여름 휴가 항공권, 언제 가장 저렴할까 [데이터클립]
  • ‘리스크 관리=생존’ 직결…책임경영 강화[내부통제 태풍]
  • 단독 R&D 가장한 ‘탈세’…간판만 ‘기업부설연구소’ 560곳 퇴출 [기업부설硏, 탈세 판도라]
  • 푸틴, 김정은에 아우르스 선물 '둘만의 산책'도…번호판 ‘7 27 1953’의 의미는?
  • 임영웅, 솔로 가수 최초로 멜론 100억 스트리밍 달성…'다이아 클럽' 입성
  • 한남동서 유모차 끌고 산책 중…'아빠' 송중기 근황 포착
  • [날씨] '낮 최고 35도' 서울 찜통더위 이어져…제주는 시간당 30㎜ 장대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477,000
    • -0.19%
    • 이더리움
    • 5,014,000
    • +2.49%
    • 비트코인 캐시
    • 545,500
    • -0.27%
    • 리플
    • 694
    • +0.58%
    • 솔라나
    • 190,000
    • -1.25%
    • 에이다
    • 540
    • +0.37%
    • 이오스
    • 799
    • +2.44%
    • 트론
    • 163
    • +0%
    • 스텔라루멘
    • 132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800
    • +1.23%
    • 체인링크
    • 20,130
    • +2.55%
    • 샌드박스
    • 454
    • +3.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