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내각, 강성 ‘국가개조’ 체제로…‘돌직구’ 총리 이어 힘 있는 경제팀으로 물갈이 유력

입력 2014-05-23 08: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안대희 전 대법관이 국무총리에 내정됨에 따라 세월호 참사 이후 필요한 각종 개혁 조치들이 보다 힘 있게 추진될 전망이다. 안 후보자는 2기 내각의 수장으로서 박 대통령이 강조하는 ‘국가대개조’를 위한 관료사회 혁신과 부패 근절을 진두지휘하게 된다.

35년간을 법조인으로 살아온 그는 2003~2004년 부법 대선자금을 수사하면서 당시 노무현 정권 실세였던 안희정·최도술을 구속하고,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에 ‘차떼기당’ 오명을 씌운 장본인이다. 이런 경험을 통해 검증된 강한 소신고 특유의 강단이 지금의 자리로 이끌었다는 평가다.

안 후보자는 같은 검찰 출신임에도 ‘예스맨’이라는 지적을 받아 온 정홍원 총리와 달리 ‘책임총리’로서의 역할과 권한을 적극 활용할 것이란 기대감이 높다.

안 후보자는 총리 내정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을 진정으로 보좌하기 위해 헌법과 법률에 따라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해 국가가 정상적인 길로 가도록 소신을 갖고 대통령에 가감 없이 진언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오는 6월 임시국회에서 정부조직법이 통과되면 신설되는 국가안전처와 행정혁신처까지 관장하게 돼 이것만으로도 사실상 ‘책임총리’에 준하는 권한이 주어지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커진 권한 만큼 과제도 많다. 세월호 참사로 추락한 정부의 신뢰를 다시 세워야 하고 공무원 사회의 관피아 방지 등 각종 폐단을 해소하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여기에 공공기관 개혁, 연금개혁, 규제완화와 같은 중장기 과제도 산적해 있다. 정치권과 소통하고 국론을 모으는 화합의 역할도 그에게 주어진 숙제다.

그럼에도 안 후보자는 “제게 국무총리를 맡긴 것은 수십년 적폐를 일소하라는 것”이라고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안 후보자가 내달 국회 인사청문회를 마치면 곧바로 박근혜 정부 2기 내각도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개각은 최소 중폭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월호 참사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강병규 안전행정부 장관과 이주영 해양수산부, 서남수 교육부 장관이 우선 교체 대상이며, 현오석 경제부총리를 중심으로 한 경제팀도 물갈이될 가능성이 높다. 국가개조를 정책으로 실천해야 할 새 경제팀은 강한 추진력을 탑재한 힘 있는 인사들로 짜여질 가능성이 높다.

김장수 국가안보실장과 남재준 국정원장의 동시 경질로 외교·안보라인 인사도 불가피하게 됐다.

한편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 참모진 개편은 6·4지방선거 이전에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3: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10,000
    • -0.35%
    • 이더리움
    • 5,257,000
    • -1.72%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0.69%
    • 리플
    • 731
    • +0.14%
    • 솔라나
    • 236,300
    • -0.3%
    • 에이다
    • 630
    • -1.41%
    • 이오스
    • 1,134
    • +0.53%
    • 트론
    • 155
    • +0.65%
    • 스텔라루멘
    • 149
    • -1.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7,000
    • -0.34%
    • 체인링크
    • 25,900
    • +1.77%
    • 샌드박스
    • 622
    • -1.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