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보건당국의 '홍역 퇴치'자찬 - 김부미 정치경제부 기자

입력 2014-05-15 11: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 3월 질병관리본부는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홍역퇴치 국가로 인증받았다며 보도자료를 내는 등 대대적인 홍보를 벌였다. 당시 양병국 본부장은 “한국의 감염병 감시, 진단, 대응 등 전반적인 감염병 관리 수준이 세계 최상위 수준에 속한다고 평가받은 것”이라고 자평했다.

하지만 이같은 자화자찬이 있은 지 채 두 달도 되지 않아 보건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소위 후진국 전염병으로 불리는 홍역·결핵 등이 최근 대학가를 중심으로 되살아나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국민대와 광운대 학생 12명이 홍역 확진을 판정받으며 국내 홍역 확진환자는 162명을 기록하고 있다.

홍역뿐 아니라 ‘못 먹고 못살아 생기는 병’으로 알려진 결핵도 빠른 속도로 번져나가고 있다. 지난 13일 부산대 학생 14명이 결핵에 걸린 데 이어 다음날 서울과학기술대 학생 9명도 결핵 판정을 받았다.

홍역과 결핵은 대표적인 후진국병으로 분류된다. 전염성이 강해 발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보건당국은 정확한 정보 제공과 더 큰 피해 확산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전염병 창궐을 키웠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들 전염병이 대학가를 중심으로 번지는 이유는 보건당국의 안일하고 느슨한 관리 체계 탓이 크다. 실제로 우리나라 국민은 영유아기에만 예방접종을 하면 된다는 인식이 만연해 성인이 된 이후 예방접종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보건당국은 후진국형 전염병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더 적극적인 예방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영유아기에 반드시 예방접종을 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어린 시절의 예방접종만으로 항체를 유지하기 어려운 점을 계속적으로 알려 추가 접종을 유도해야 한다.

또한 실적 홍보에 앞서 보건당국 본연의 역할에 더 충실해야 한다. 보건당국이 ‘유비무환’이란 세월호 사고의 교훈을 벌써 망각한 건 아닌지 우려스러울 따름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인도 생각에 가슴이 뛴다”는 LG…법인명 바꾸고 IPO 초읽기
  • 최대 실적에도 목마른 오아시스, 그들이 원하는 건 ‘온라인 경쟁력’ [유승호의 유노우]
  • 韓 시장서 설 자리 잃었던 ‘수입차 대중화 모델’…올해 신차로 기회 노릴까
  • 4대 금융지주 이번 주 ‘주총 데이’…주주환원·내부통제 방점
  • [역차별에 흔들리는 韓-상] ICT 토종기업 발 묶인 사이 빅테크가 장악
  • "원하는 사람만 새 실손 전환"…보험계약 재매입 실효성 논란
  • 청년이 건넨 '지속가능발전' 배지…환경장관은 하루도 빠짐없이 찼다
  • [날씨] 포근하고 건조한 봄날씨 '산불 주의'…미세먼지는 나쁨
  • 오늘의 상승종목

  • 03.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614,000
    • +1.24%
    • 이더리움
    • 2,962,000
    • +1.2%
    • 비트코인 캐시
    • 478,200
    • +0%
    • 리플
    • 3,561
    • +1.63%
    • 솔라나
    • 195,700
    • +2.89%
    • 에이다
    • 1,046
    • +0.77%
    • 이오스
    • 844
    • +3.18%
    • 트론
    • 345
    • -0.58%
    • 스텔라루멘
    • 416
    • +2.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300
    • -0.3%
    • 체인링크
    • 21,300
    • +1.77%
    • 샌드박스
    • 419
    • +0.48%
* 24시간 변동률 기준